"국가 기밀 빠져나가" 이준석 지적에…與 "챗GPT는 보완 용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與 디지털정당위, 국감 전 챗GPT 교육키로
이준석 "챗GPT, 인풋 학습 시스템…위험"
이재영 위원장 "보완용이지, 주체 아냐"
"민감한 사안 넣는 문제는 활용 전 교육"
이준석 "챗GPT, 인풋 학습 시스템…위험"
이재영 위원장 "보완용이지, 주체 아냐"
"민감한 사안 넣는 문제는 활용 전 교육"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국민의힘이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인풋(입력값)을 학습하는 시스템에 국정감사 자료들을 집어넣겠다는 발상은 위험하다"고 10일 지적했다. 이에 국민의힘 측은 챗GPT가 국정감사의 주체가 되는 게 아니라, 국정감사 업무 효율을 높이는 보완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국회의원은 의정 활동을 하면서 많은 국가 비밀과 내밀한 정보들을 취득한다. 이를 공공의 이익에 맞게 조심해서 활용해야 한다"며 "챗GPT가 단순히 요약 머신이 아니라 결국 인풋을 학습하는 시스템인데, 거기에 국감 자료들을 집어넣겠다는 발상은 위험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냥 겉멋 들어서 챗GPT 같은, 이제 그다지 신선해보이지도 않는 버즈워드(쓸데 없는 말)를 남발하면서 국가 비밀을 위험에 빠뜨리는 상황은 만들지 말자. 청문회 스타 노무현은 권력에 맞서 목소리를 높였고, 국감 스타 노회찬은 신문지 몇장으로 이목을 끌었다"며 "챗GPT가 문제가 아니라, 특검이나 정부의 실책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용기가 스타를 만들어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한국일보는 지난 8일 국민의힘 디지털정당위원회가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소속 의원들과 당직자들에게 챗GPT 유료 계정을 제공하고 활용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국감에서 다룰 주제를 정리하는 동시에 △과거 국감 결과나 공청회 자료 등의 데이터 분석 △질문지 작성 지원 △보고서 작성 △정책 및 법률 해석 등에 활용한다는 것이다.
이 의원이 거론한 보안 문제에 대해서는 대화 내역이 챗GPT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되지 않는 '팀 플랜'을 이용해 대비한다고 했다. 따라서 이재영 디지털정당위원장은 이날 한경닷컴과 통화에서 이 의원 주장의 설정이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이 위원장은 "챗GPT는 보완을 위해 쓰는 것이지, 챗GPT가 주체가 되는 게 아니다. 주체는 사용자"라며 "국회의원과 보좌진이 커버를 못 하는 부분을 빠르게 검색 및 보완하는 용도로, 업무를 속도감 있게 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국감에는 무조건 보안이 필요한 정보만 넣는 게 아니다. 국가 기밀 등 민감한 사안을 넣는 문제는 활용 전 교육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이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국회의원은 의정 활동을 하면서 많은 국가 비밀과 내밀한 정보들을 취득한다. 이를 공공의 이익에 맞게 조심해서 활용해야 한다"며 "챗GPT가 단순히 요약 머신이 아니라 결국 인풋을 학습하는 시스템인데, 거기에 국감 자료들을 집어넣겠다는 발상은 위험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냥 겉멋 들어서 챗GPT 같은, 이제 그다지 신선해보이지도 않는 버즈워드(쓸데 없는 말)를 남발하면서 국가 비밀을 위험에 빠뜨리는 상황은 만들지 말자. 청문회 스타 노무현은 권력에 맞서 목소리를 높였고, 국감 스타 노회찬은 신문지 몇장으로 이목을 끌었다"며 "챗GPT가 문제가 아니라, 특검이나 정부의 실책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용기가 스타를 만들어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한국일보는 지난 8일 국민의힘 디지털정당위원회가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소속 의원들과 당직자들에게 챗GPT 유료 계정을 제공하고 활용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국감에서 다룰 주제를 정리하는 동시에 △과거 국감 결과나 공청회 자료 등의 데이터 분석 △질문지 작성 지원 △보고서 작성 △정책 및 법률 해석 등에 활용한다는 것이다.
이 의원이 거론한 보안 문제에 대해서는 대화 내역이 챗GPT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되지 않는 '팀 플랜'을 이용해 대비한다고 했다. 따라서 이재영 디지털정당위원장은 이날 한경닷컴과 통화에서 이 의원 주장의 설정이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이 위원장은 "챗GPT는 보완을 위해 쓰는 것이지, 챗GPT가 주체가 되는 게 아니다. 주체는 사용자"라며 "국회의원과 보좌진이 커버를 못 하는 부분을 빠르게 검색 및 보완하는 용도로, 업무를 속도감 있게 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국감에는 무조건 보안이 필요한 정보만 넣는 게 아니다. 국가 기밀 등 민감한 사안을 넣는 문제는 활용 전 교육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