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 사태에 7일부터 쿠팡 요금 인상…이커머스 지각변동 예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와우멤버쉽 월 회비 약 3천원 인상
기존 4990원→7890원
정부, 티메프 유동성 지원 착수
기존 4990원→7890원
정부, 티메프 유동성 지원 착수
쿠팡이 내일인 7일부터 멤버십 가격을 기존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올린다. 티몬·위메프(티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로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계가 술렁이는 가운데 쿠팡의 회비 인상이 시장 판도에 줄 영향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쿠팡 멤버십은 오는 7일을 기점으로 결제 시기가 돌아오는 회원은 인상된 월회비를 낸다. 신규 회원에게는 이미 지난 4월 13일부터 7890원 요금이 적용되고 있다. 쿠팡의 유료 멤버십 월회비 인상은 예고된 것이지만, 티메프가 1조 원대 미정산 사태를 초래하며 기업 회생(법정관리) 개시를 신청하는 초유의 상황에서 업계도 시장에 미칠 영향을 예의 주시 중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멤버십 요금 결제가 임박한 고객이 잔류든 탈퇴든 이미 한쪽으로 마음을 굳혀 이번 사태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한 이커머스 업체 관계자는 "쿠팡의 상당수 회원이 티메프 사태 이전에 이미 결정을 끝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요금 인상으로 탈퇴를 고민하다가 잔류하는 고객이 꽤 있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티메프 사태로 플랫폼 신뢰도가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된 시점이라 업계 1위의 비교적 안전한 플랫폼으로 꼽히는 쿠팡을 떠나는 데 부담을 느끼는 고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쿠팡 경쟁사들은 혜택을 강화하며 쿠팡 탈퇴족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신세계그룹 계열 G마켓은 지난달 1일부터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멤버십의 쿠폰 할인율을 높이고 금액 조건을 없애는 등 혜택 구조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네이버는 오는 10월까지 유료 구독 서비스인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회원을 대상으로 최대 10%의 적립금을 더 주는 '슈퍼적립' 서비스를 준비했다. 컬리는 지난달 1일 멤버십 구조를 개편해 2만 원 이상 구매한 멤버십 고객에게 무료배송 혜택을 주고 있다.
한편 정부는 티메프 사태와 관련해 정책금융기관의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 사전 신청을 오는 9일부터 받는다. 실제 자금 집행은 전산 준비 등을 거쳐 오는 14일경부터 이뤄진다. 정부는 정산 지연 규모를 지난달 31일 기준 2745억 원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정산 기한이 남은 6~7월 거래분을 포함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쿠팡 멤버십은 오는 7일을 기점으로 결제 시기가 돌아오는 회원은 인상된 월회비를 낸다. 신규 회원에게는 이미 지난 4월 13일부터 7890원 요금이 적용되고 있다. 쿠팡의 유료 멤버십 월회비 인상은 예고된 것이지만, 티메프가 1조 원대 미정산 사태를 초래하며 기업 회생(법정관리) 개시를 신청하는 초유의 상황에서 업계도 시장에 미칠 영향을 예의 주시 중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멤버십 요금 결제가 임박한 고객이 잔류든 탈퇴든 이미 한쪽으로 마음을 굳혀 이번 사태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한 이커머스 업체 관계자는 "쿠팡의 상당수 회원이 티메프 사태 이전에 이미 결정을 끝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요금 인상으로 탈퇴를 고민하다가 잔류하는 고객이 꽤 있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티메프 사태로 플랫폼 신뢰도가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된 시점이라 업계 1위의 비교적 안전한 플랫폼으로 꼽히는 쿠팡을 떠나는 데 부담을 느끼는 고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쿠팡 경쟁사들은 혜택을 강화하며 쿠팡 탈퇴족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신세계그룹 계열 G마켓은 지난달 1일부터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멤버십의 쿠폰 할인율을 높이고 금액 조건을 없애는 등 혜택 구조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네이버는 오는 10월까지 유료 구독 서비스인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회원을 대상으로 최대 10%의 적립금을 더 주는 '슈퍼적립' 서비스를 준비했다. 컬리는 지난달 1일 멤버십 구조를 개편해 2만 원 이상 구매한 멤버십 고객에게 무료배송 혜택을 주고 있다.
한편 정부는 티메프 사태와 관련해 정책금융기관의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 사전 신청을 오는 9일부터 받는다. 실제 자금 집행은 전산 준비 등을 거쳐 오는 14일경부터 이뤄진다. 정부는 정산 지연 규모를 지난달 31일 기준 2745억 원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정산 기한이 남은 6~7월 거래분을 포함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