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영업익 10조 돌파' 깜짝 실적…"HBM이 하반기 관건" [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전자, 분기 영업익 10조 돌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52% 증가
매출액 2개 분기 연속 70조원대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 등 영향
매출은 시장기대치 수준 머물러
"호실적, 비용 요인으로 해석"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52% 증가
매출액 2개 분기 연속 70조원대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 등 영향
매출은 시장기대치 수준 머물러
"호실적, 비용 요인으로 해석"
삼성전자가 2022년 3분기 이후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잠정실적 발표라 사업부문별 실적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업계 안팎에선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실적을 개선한 것으로 보고 있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10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52.2% 증가한 수치다. 6조6100억원을 달성했던 직전 분기와 비교해도 57.3% 늘어났다.
올해 들어 누적 영업이익(1~2분기 합산)은 17조10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6조5700억원)을 이미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2022년 3분기 이후 처음이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1%, 직전 분기보다 2.9% 증가한 74조원으로 집계돼 역시 2개 분기 연속 70조원대를 기록한 것이다. 1분기 매출을 합산하면 상반기에만 총 145조9200억에 달한다.
업계에선 D램·낸드플래시 등의 메모리 반도체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이 전체 실적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중 절반 이상은 반도체 몫이다. 올 2분기의 경우 반도체 사업을 맡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에서만 5조원 안팎에 이르는 영업이익을 거뒀을 것으로 예상됐는데 이를 웃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올 2분기 D램과 낸드의 ASP는 1년 전보다 올랐다. 인공지능(AI) 시장 확대로 고부가 메모리 판매가 늘어난 영향도 실적을 끌어올린 요인으로 꼽힌다.
올 하반기에도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증설로 D램 공급 부족 상황이 심화하면서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 5세대 HBM3E 양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실적 개선세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증권가에선 삼성전자가 다음 달을 목표로 엔비디아용 HBM3E 품질 검증을 진행 중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삼성전자의 발목을 잡던 HBM이 하반기 실적 개선폭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만으로 HBM 수요를 맞출 수 없기에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의 HBM 인증을 완료해야 할 강력한 이유가 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HBM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최근 'HBM 개발팀'을 신설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하기도 했다.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이 반도체 사업을 이끌게 된 지 약 한 달 만에 이뤄진 조치다. HBM 개발팀은 손영수 부사장을 중심으로 HBM3·HBM3E와 차세대 HBM4 기술 개발을 맡게 된다.
지난달 28일엔 HBM 등 차세대 D램 설계·개발 등 800여개 직무에 배치할 경력사원 채용공고를 내고 인재 확보에 나섰다.
스마트폰·노트북 등을 맡는 모바일경험(MX) 사업부의 경우 전통적 비수기에 따른 영향과 D램·낸드 가격 상승이 겹쳐 수익성이 소폭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반도체 실적이 시장전망치를 큰 폭으로 웃돌아 이를 상쇄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오는 31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사업부문별 실적과 향후 사업 방향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증권가에서는 영업이익이 예상을 대폭 웃돈 것과 달리 매출액은 예상 수준이었던 데 주목하고 있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호실적이 매출 증대가 아닌 비용 요인에 기반했을 것이란 회계적 해석이 나오는 점은 다소 아쉽다”고 평가했다.
가장 쉽게 예상할 수 있는 비용 감소 요인은 재고평가손실 환입이다. 메모리반도체 시황 회복에 따라 삼성전자는 과거 비용으로 반영했던 재고자산의 가치 하락분을 되돌렸을 가능성이 크다.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 반도체섹터를 담당한 바 있는 김장열 유니스토리자산운용 본부장은 “예상보다 적었던 비용의 대부분이 재고평가손실 환입이라면 긍정적 평가가 희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이날 오전 10시39분 현재 전일 대비 1400원(1.65%) 오른 8만6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4월8일 장중에 기록한 52주 신고가까지 올랐지만, 이를 돌파하지는 못하고 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10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52.2% 증가한 수치다. 6조6100억원을 달성했던 직전 분기와 비교해도 57.3% 늘어났다.
올해 들어 누적 영업이익(1~2분기 합산)은 17조10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6조5700억원)을 이미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2022년 3분기 이후 처음이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1%, 직전 분기보다 2.9% 증가한 74조원으로 집계돼 역시 2개 분기 연속 70조원대를 기록한 것이다. 1분기 매출을 합산하면 상반기에만 총 145조9200억에 달한다.
업계에선 D램·낸드플래시 등의 메모리 반도체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이 전체 실적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중 절반 이상은 반도체 몫이다. 올 2분기의 경우 반도체 사업을 맡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에서만 5조원 안팎에 이르는 영업이익을 거뒀을 것으로 예상됐는데 이를 웃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올 2분기 D램과 낸드의 ASP는 1년 전보다 올랐다. 인공지능(AI) 시장 확대로 고부가 메모리 판매가 늘어난 영향도 실적을 끌어올린 요인으로 꼽힌다.
올 하반기에도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증설로 D램 공급 부족 상황이 심화하면서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 5세대 HBM3E 양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실적 개선세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증권가에선 삼성전자가 다음 달을 목표로 엔비디아용 HBM3E 품질 검증을 진행 중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삼성전자의 발목을 잡던 HBM이 하반기 실적 개선폭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만으로 HBM 수요를 맞출 수 없기에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의 HBM 인증을 완료해야 할 강력한 이유가 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HBM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최근 'HBM 개발팀'을 신설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하기도 했다.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이 반도체 사업을 이끌게 된 지 약 한 달 만에 이뤄진 조치다. HBM 개발팀은 손영수 부사장을 중심으로 HBM3·HBM3E와 차세대 HBM4 기술 개발을 맡게 된다.
지난달 28일엔 HBM 등 차세대 D램 설계·개발 등 800여개 직무에 배치할 경력사원 채용공고를 내고 인재 확보에 나섰다.
스마트폰·노트북 등을 맡는 모바일경험(MX) 사업부의 경우 전통적 비수기에 따른 영향과 D램·낸드 가격 상승이 겹쳐 수익성이 소폭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반도체 실적이 시장전망치를 큰 폭으로 웃돌아 이를 상쇄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오는 31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사업부문별 실적과 향후 사업 방향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증권가에서는 영업이익이 예상을 대폭 웃돈 것과 달리 매출액은 예상 수준이었던 데 주목하고 있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호실적이 매출 증대가 아닌 비용 요인에 기반했을 것이란 회계적 해석이 나오는 점은 다소 아쉽다”고 평가했다.
가장 쉽게 예상할 수 있는 비용 감소 요인은 재고평가손실 환입이다. 메모리반도체 시황 회복에 따라 삼성전자는 과거 비용으로 반영했던 재고자산의 가치 하락분을 되돌렸을 가능성이 크다.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 반도체섹터를 담당한 바 있는 김장열 유니스토리자산운용 본부장은 “예상보다 적었던 비용의 대부분이 재고평가손실 환입이라면 긍정적 평가가 희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이날 오전 10시39분 현재 전일 대비 1400원(1.65%) 오른 8만6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4월8일 장중에 기록한 52주 신고가까지 올랐지만, 이를 돌파하지는 못하고 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