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른하르트 코크 홀심시멘트 품질·환경파트장이 지난 23일 오스트리아 매너스도르프 공장에서 폐콘크리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최형창 기자
베른하르트 코크 홀심시멘트 품질·환경파트장이 지난 23일 오스트리아 매너스도르프 공장에서 폐콘크리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최형창 기자
지난 23일 오스트리아 수도 빈에서 동남쪽으로 40㎞ 떨어진 소도시 매너스도르프에 자리한 홀심시멘트 공장. 공장 내부 축구장 절반만 한 넓이의 저장고 문을 열었더니 뿌연 먼지가 날렸다. 먼지의 정체는 폐콘크리트, 벽돌 등 폐건자재. 이 공장에선 기존 건물을 철거해 나온 폐건자재를 매립하지 않고, 시멘트 생산에 사용하기 위해 모은 뒤 가루로 만드는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재활용 시멘트' 탄소 20% 줄였다
시멘트의 주원료인 클링커(탁구공 크기의 덩어리)는 광산에서 캔 석회석에 점토 등 부원료를 섞어 소성로에서 1450도 초고온 가열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클링커를 분쇄하고 석고와 혼합하면 시멘트 분말이 된다. 클링커 1t을 제조할 때 이산화탄소 평균 배출량은 850㎏. 하지만 홀심시멘트는 이를 평균 700㎏(시멘트는 1t당 이산화탄소 495㎏ 배출)까지 줄였다. 국내에서는 시멘트 1t을 만드는 데 이산화탄소 700㎏을 배출하는데, 이것과 비교하면 중형차 10만 대가 덜 다니는 효과다.

홀심시멘트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었던 비결 중 하나는 클링커 제조 시 부원료로 폐건자재를 사용한 것이다. 베르톨트 크렌 홀심시멘트 대표는 “연구개발(R&D)을 지속해 성능은 유지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며 “그 결과 클링커 제조 공정에서부터 폐건자재 사용 비율을 16%까지 올렸다”고 설명했다. 홀심시멘트는 여기에 더해 최종 제품인 시멘트를 생산할 때도 대체원료 비중을 25%까지 늘렸다. 시멘트를 석회석으로만 만든다는 고정 관념을 깨고, 고로슬래그(제철소 고로에서 나온 부산물) 등 혼합재 사용 비중을 늘리면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있다.

폐건자재를 시멘트 원료로 쓰는 건 오스트리아만의 특수 사례가 아니다. 지난 20일 찾은 그리스 테살로니키 타이탄시멘트 공장도 2017년부터 폐콘크리트 등 다양한 혼합재를 시멘트 원료로 쓰고 있었다.

이처럼 유럽 시멘트 생산 현장에선 친환경 기술 접목이 확산되는 추세다. 시멘트 생산 시 초고온 가열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연료로 유연탄 대신 폐플라스틱, 폐타이어 등의 비중을 높여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인다. 국내 시멘트산업에서 순환자원 재활용률이 35% 수준에 머물 때 홀심시멘트는 90%까지 늘렸다.

유럽에서는 시멘트에 사용할 수 있는 혼합재 종류(10종)가 다양하고, 비중도 36%에 달한다. 반면 국내에선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포졸란, 석회석 미분말 중에서 두 종류만 제한적으로 넣을 수 있고 비중도 10%에 묶여 있다. 김진만 공주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성능이 비슷하다면 국내 시멘트업계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적극적인 KS 기준 완화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너스도르프·테살로니키=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