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27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에서 열린 개청 기념 직원 조회 인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5.27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27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에서 열린 개청 기념 직원 조회 인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5.27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한민국 우주항공 분야 정책 수립과 연구개발(R&D) 및 산업을 담당하는 우주항공청이 27일 출범했다. 지난해 4월 정부가 특별법을 발의한 지 약 13개월, 올해 1월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이날 경남 사천 사남면 임시청사로 출근하며 "수많은 우주항공인들이 염원해 온 우주청이 드디어 개청하게 돼 기쁘다"며 "설렘과 동시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심경을 밝혔다. 그는 "우주항공청 설립을 계기로 민간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한국을 본격적인 우주경제 강국으로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청장은 우주청 청사 1층에서 개청 기념 직원 조회를 열고 근무를 위해 사천으로 이주한 직원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그는 "개개인의 능력과 역량이 최대한 잘 발휘될 수 있도록 적시·적소에 역할을 부여하겠다"며 "각자의 전문성이 확실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오케스트라 지휘자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우주항공청이 해야 할 일은 도전과 성취의 연속일 것"이라며 "진정한 우주기술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이고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모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오전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이 경남 사천시 사남면 우주항공청 임시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5.27 / 사진=뉴스1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오전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이 경남 사천시 사남면 우주항공청 임시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5.27 / 사진=뉴스1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27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2024.5.27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27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2024.5.27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윤 청장은 우주항공청의 역할로 △국가 우주항공 정책수립 △R&D 수행 및 인력 양성 △산업진흥 △국제협력 등 4가지를 꼽았다. 이에 대해 "마치 의자의 네 다리가 균형과 조화를 이뤄야 바로 설 수 있듯 우주항공청의 역할도 각 부서의 균형과 조화가 잘 이뤄질 때 비로소 제 자리를 잡을 수 있다"고 했다.

또 윤 청장은 한국의 우주항공역량이 이제 막 기초체력을 갖추고 경기에 나갈 수 있는 선수 역량을 갖춘 초기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오늘날 우리나라가 세계 7대 우주기술강국에 진입했다고 하지만 1위에서 6위권 국가와는 많은 격차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기 위해서는 개인 선수의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선수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전문가 팀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주항공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차관급 청장과 1급 공무원인 차장 1명과 우주항공임무본무장 1명을 비롯해 모두 293명 정원으로 신설됐다. 출범 초기에는 약 110명이 부임했다. 이날부터 윤 청장과 함께 노경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이 차장으로, 존 리 전 미 항공우주국(NASA) 본부장이 우주항공임무본부장으로 업무를 시작했다.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오전 경남 사천시 사남면 우주항공청 임시청사로 직원들이 출근하고 있다. 2024.5.27 / 사진=뉴스1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오전 경남 사천시 사남면 우주항공청 임시청사로 직원들이 출근하고 있다. 2024.5.27 / 사진=뉴스1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오전 경남 사천시 사남면 우주항공청 임시청사에서 개청 기념 직원조회가 열린 가운데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직원들과 악수를 하고 있다. 2024.5.27 / 사진=뉴스1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오전 경남 사천시 사남면 우주항공청 임시청사에서 개청 기념 직원조회가 열린 가운데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직원들과 악수를 하고 있다. 2024.5.27 / 사진=뉴스1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오전 경남 사천시 사남면 우주항공청 임시청사로 직원들이 출근하고 있다. 2024.5.27 / 사진=뉴스1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오전 경남 사천시 사남면 우주항공청 임시청사로 직원들이 출근하고 있다. 2024.5.27 / 사진=뉴스1
우주항공청은 개청과 함께 곧바로 우리나라의 우주항공 임무를 주관하게 된다. 정부는 올해 주요 임무로 우주탐사, 우주수송, 우주산업, 우주안보, 우주과학 등 5대 임무를 설정하고 예산 9923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기존에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맡아오던 관련 업무들을 이제는 모두 우주청이 맡는다.

주요 임무를 살펴보면 2032년 달 착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달 탐사 2단계 사업(달 착륙선 개발)에 착수하고, 상용 발사 서비스 시장 진입을 위해 차세대 발사체 10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엔진·설계·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내년으로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를 위한 체계 총조립도 올해 진행되며 민간 발사체의 발사 지원을 위한 나로우주센터 내 국내 최초 민간 소형 발사체 발사장 구축도 시작된다.

달을 넘어 화성·소행성 등 미래 우주로 나아가기 위한 여정을 담은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 수립, 미국의 유인 달 착륙 임무인 '아르테미스 계획' 참여 확대 추진, 우주산업 클러스터 3각체제 구축, 국제공동 블랙홀 관측 프로젝트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참여, NASA와의 태양코로나그래프 발사 등도 예정돼 있다.

또한 윤 청장이 핵심 임무로 내세운 민간 우주기업 발굴·육성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당장 누리호·차세대발사체 개발을 함께 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대기업 뿐만이 아니라 규모가 작은 우주 스타트업들의 역할도 커지도록 민간 우주시장 성장에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27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에서 열린 개청 기념 조회에서 직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5.27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27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에서 열린 개청 기념 조회에서 직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5.27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