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공의 집단이탈에 대응하기 위해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하자 경증 환자를 중심으로 비대면 의료 서비스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24일 공개한 의료기관 진료비 청구 자료에 따르면 올 2월 23일부터 지난달까지 약 10주간 병·의원에서 38만5000여 건의 비대면 진료가 이뤄졌다. 하루평균 5666건이다. 기관별로 보면 의원급의 비대면 진료는 38만3286건으로 하루평균 5637건에 달했다. 병원급의 비대면 진료는 2009건, 하루평균으로는 30건이었다.

정부는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에 나서자 2월 23일부터 의원과 병원 등 희망하는 모든 의료기관이 초진·재진 구분 없이 비대면 진료를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종전엔 재진이거나 의료기관이 부족한 섬·벽지 거주자 등의 초진에 한정해 비대면 진료를 할 수 있었다.

비대면 진료는 규제가 전면 허용된 시기를 전후로 하루평균 1000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루평균 비대면 진료 건수는 올 1월 4784건에 그쳤지만 비대면 진료가 전면 허용되자 3월 5760건, 4월 5595건 등으로 늘었다. 정부는 의료기관이 진료비를 청구하기까지 1~3개월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더 많은 환자가 비대면 진료를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비대면 진료가 많이 이뤄진 5대 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 질환과 기관지염 알레르기비염 비인두염 등 경증 질환으로 분석됐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한 브리핑에서 “비대면 진료가 경증 외래환자를 동네 병·의원으로 분산했다”며 “상급종합병원도 외래 부담이 완화되면서 중증·응급 환자 진료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전공의 이탈이 장기화하면서 대형병원 입원환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23일 기준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는 1주일 전보다 11% 증가한 2만5252명으로 집계됐다. 평시의 76% 수준이다. 박 차관은 “최근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기관 내원 환자가 증가해 응급실 과부하가 우려되고 있다”며 “응급의료 대응에 차질이 없도록 중증도별 내원 환자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