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중환자실…전공의 이탈 석달에 교수들 주130시간 근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환자실 전공의 의존도 높아 박탈감 커…2∼3일마다 당직"
"전문 장비·고위험 약물 다뤄 인력 대체 불가능" "3월에 일주일에 130시간을 일했습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교수들의 집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실에서 중증외상 환자를 보는 홍석경 교수는 전공의들이 떠난 중환자실을 이대로 유지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당직 근무가 많은 중환자실에는 원래 전공의가 많이 배치됐는데, 전공의가 병원을 떠난 지 석 달이 되면서 이들의 공백을 메워온 교수들도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중환자실은 자력으로 생존할 수 없어 인공호흡기와 투석기, 에크모 등의 장비와 혈압상승제와 진정제, 수면제 등 고위험 약물을 꾸준히 투여해야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다.
일반 병실에서 치료가 불가능한 고위험군 환자들이 들어오기 때문에 중환자실 의료진은 24시간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중환자실에서 외과계 환자를 담당하는 홍 교수는 중증외상 환자와 수술 부위 감염, 출혈 등으로 쇼크 증상이 있는 환자, 장기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장기부전 환자를 주로 담당한다.
홍 교수는 "중환자실에서는 전문 장비와 고위험 약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을 할 수 없다"며 "원래 중환자실에 전공의들이 집중적으로 배치됐는데 이들이 빠지면서 박탈감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이어 "대체인력을 투입한다고 하지만, 온전히 의사들이 해야 할 업무가 있기 때문에 더는 업무를 나눌 수 없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계속 버티는 것은 무리"라고 강조했다.
중환자실 교수들은 다른 진료과보다 당직도 훨씬 자주 선다.
중환자를 돌볼 수 있는 교수가 얼마 없기 때문이다.
홍 교수는 "전공의가 떠난 후에 병원에서 교수들이 같은 과 내에서 돌아가면서 당직을 서는 통합당직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만 중환자실은 그럴 수 없다"며 "중환자실 환자를 감당할 수 있는 교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중환자실 당직은 중환자실 담당 교수들이 온전히 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과 4월까지 3일에 한 번 꼬박 당직을 섰고, 중환자실에서도 우리(외과)보다 상황이 열악한 과는 지금까지도 이틀에 한 번씩 당직을 서고 있다"고 말했다.
중환자실 교수들은 잦은 당직 후에 온전히 쉬기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홍 교수는 "교수들이 진료만 보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 연구도 해야 한다"며 "당직을 서고 나서도 오후 2∼3시까지 업무를 마친 뒤에야 쉴 수 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중환자실은 임의로 환자를 줄일 수도 없다.
이미 병원에 들어온 환자가 중증 상태가 되면 중환자실에서는 환자를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홍 교수는 "응급실은 의료 인력 상황에 따라 환자를 주체적으로 줄일 수 있지만, 중환자실은 응급실을 통해서 들어온 환자나, 이미 병실에 입원한 상태에서 상황이 악화한 환자를 받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중환자실 교수들 상황은 한계치까지 올라온 게 맞다"며 "이 상황이 유지되길 바라는 의사는 아무도 없을 거다.
정부가 정책을 전문가들과 상의해서 정상적인 궤도를 회복하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문 장비·고위험 약물 다뤄 인력 대체 불가능" "3월에 일주일에 130시간을 일했습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교수들의 집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실에서 중증외상 환자를 보는 홍석경 교수는 전공의들이 떠난 중환자실을 이대로 유지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당직 근무가 많은 중환자실에는 원래 전공의가 많이 배치됐는데, 전공의가 병원을 떠난 지 석 달이 되면서 이들의 공백을 메워온 교수들도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중환자실은 자력으로 생존할 수 없어 인공호흡기와 투석기, 에크모 등의 장비와 혈압상승제와 진정제, 수면제 등 고위험 약물을 꾸준히 투여해야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다.
일반 병실에서 치료가 불가능한 고위험군 환자들이 들어오기 때문에 중환자실 의료진은 24시간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중환자실에서 외과계 환자를 담당하는 홍 교수는 중증외상 환자와 수술 부위 감염, 출혈 등으로 쇼크 증상이 있는 환자, 장기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장기부전 환자를 주로 담당한다.
홍 교수는 "중환자실에서는 전문 장비와 고위험 약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을 할 수 없다"며 "원래 중환자실에 전공의들이 집중적으로 배치됐는데 이들이 빠지면서 박탈감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이어 "대체인력을 투입한다고 하지만, 온전히 의사들이 해야 할 업무가 있기 때문에 더는 업무를 나눌 수 없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계속 버티는 것은 무리"라고 강조했다.
중환자실 교수들은 다른 진료과보다 당직도 훨씬 자주 선다.
중환자를 돌볼 수 있는 교수가 얼마 없기 때문이다.
홍 교수는 "전공의가 떠난 후에 병원에서 교수들이 같은 과 내에서 돌아가면서 당직을 서는 통합당직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만 중환자실은 그럴 수 없다"며 "중환자실 환자를 감당할 수 있는 교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중환자실 당직은 중환자실 담당 교수들이 온전히 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과 4월까지 3일에 한 번 꼬박 당직을 섰고, 중환자실에서도 우리(외과)보다 상황이 열악한 과는 지금까지도 이틀에 한 번씩 당직을 서고 있다"고 말했다.
중환자실 교수들은 잦은 당직 후에 온전히 쉬기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홍 교수는 "교수들이 진료만 보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 연구도 해야 한다"며 "당직을 서고 나서도 오후 2∼3시까지 업무를 마친 뒤에야 쉴 수 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중환자실은 임의로 환자를 줄일 수도 없다.
이미 병원에 들어온 환자가 중증 상태가 되면 중환자실에서는 환자를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홍 교수는 "응급실은 의료 인력 상황에 따라 환자를 주체적으로 줄일 수 있지만, 중환자실은 응급실을 통해서 들어온 환자나, 이미 병실에 입원한 상태에서 상황이 악화한 환자를 받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중환자실 교수들 상황은 한계치까지 올라온 게 맞다"며 "이 상황이 유지되길 바라는 의사는 아무도 없을 거다.
정부가 정책을 전문가들과 상의해서 정상적인 궤도를 회복하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