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7호선도 '의자 없는 칸' 운행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가 올초 서울지하철 4호선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한 ‘객실 의자 없는 열차’(사진)를 16일부터 7호선에서도 운영한다고 15일 밝혔다.

의자 없는 열차는 교통 약자석(12석)을 제외하고 7인석 일반 의자를 모두 제거한 차량이다. 의자를 덜어내고 남은 공간에 더 많은 승객이 서서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사는 지난 1월부터 4호선의 혼잡도를 완화하는 단기 대책으로 열차 1개 편성 1칸의 객실 의자를 제거한 뒤 시범 운행하고 있다. 객실 의자를 없애면 지하철 혼잡률이 최대 40% 개선되고, 탑승 공간이 칸당 12.6㎡ 더 확보된다고 공사는 보고 있다.

당장 16일 출근길부터 7호선에선 열차 1개 편성에서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칸을 의자 없이 운행한다. 객실 내 의자가 없어진 공간이 다소 썰렁하다는 4호선 이용 승객의 의견을 반영해 열차 안을 특색 있는 디자인으로 꾸미고, ‘7호선을 타고 즐기는 서울 여행’을 주제로 한 그림 형태 스티커를 벽면에 붙였다. 공사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의자 없는 열차에 지지대 30개, 등받이 12개, 손잡이 36개를 추가로 설치했다.

공사는 지하철 혼잡도를 완화하는 대책으로 의자 없는 열차를 도입했다. 하지만 아직 효과가 완벽히 입증된 건 아니다. 4호선에 의자 없는 전동차를 시범 운행하는 기간이 방학과 겹쳐 혼잡도 개선 효과를 정확하게 검증하기 어려웠다는 게 공사의 의견이다. 공사는 7호선에서 의자 없는 열차를 운영한 뒤 효과를 다시 분석하기로 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