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4월 생산자물가 0.5%↑…인플레 안잡히네
미국 노동부가 지난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계절조정 후)가 전월보다 0.5% 상승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과 다우존스의 전문가 예상치(0.3%)보다 높았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2.2%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4월(전년 동기 대비 2.3%) 이후 12개월 만에 가장 큰 오름폭이다. 물가 상승세가 좀체 잡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었다. 다만 노동부는 3월 PPI를 당초 발표했던 0.2% 상승 대신 0.1% 상승으로 수정했다.

PPI는 제조 업체나 유통 서비스 업체가 원자재 등을 사들일 때 가격을 집계한 일종의 ‘도매 물가’이며, 통화정책의 주요 지표로 활용된다. 지난달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PPI는 전월보다 0.5% 오른 것으로 나타나 시장 전망치(0.2%)를 훌쩍 뛰어넘었다.

이번 P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 것은 서비스 가격이 오른 것에 상당 부분 기인한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은 지난달 0.6% 올랐는데, 이는 작년 7월(0.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노동부는 기계·장비 도매 가격이 올랐고 주거용 부동산 서비스, 자동차 소매판매, 숙박업 가격도 뛰었다고 밝혔다.

상품 가격은 지난달 0.4% 올라 3월(0.2%)보다 상승폭이 더 커졌다. 휘발유 가격이 5.4% 뛰는 등 에너지 가격이 2.0% 오른 영향이 컸다. 그러나 채소류 가격이 18.7%나 떨어져 식료품 가격은 전반적으로 내린 것(-0.7%)으로 집계됐다.

15일에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시장의 관심은 CPI가 PPI처럼 높게 나올지에 쏠린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는 추가 증거가 없으면 현재 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