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 21개월 만에 최고…전기차 수요 둔화에 두달 연속 車 수출 감소
대미수출, 두달 연속 대중수출보다 많아…대중수출은 한 달 만에 다시 적자
전문가들 "미국의 對韓 수입규제 가능성에 대비해야"

반도체發 봄바람에 수출 훈풍 계속…'침체기 효자'였던 車수출↓
올해 3월 수출이 6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하고, 무역수지가 10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간 것은 한국 수출의 버팀목인 반도체 업황이 되살아난 효과로 분석된다.

반도체 수출은 117억달러를 기록, 2022년 6월(123억달러)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실적을 냈다.

반도체 수출은 5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 추세다.

다만 지난해 반도체 불황기와 맞물린 전체 수출 침체기에 효자 역할을 했던 자동차 수출은 둔화 흐름을 보였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 감소 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도체發 봄바람에 수출 훈풍 계속…'침체기 효자'였던 車수출↓
◇ 반도체 포함 IT 품목 2년만에 '올 플러스'…車는 두달 연속 뒷걸음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3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반도체를 포함한 IT 품목(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무선통신기기)은 2022년 3월 이후 24개월 만에 모두 플러스 성장하며 한국 수출을 견인했다.

대중(對中) 수출과 함께 한국 수출의 양대 버팀목인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7% 늘어난 117억달러로 집계됐다.

반도체 수출은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실적으로, 5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디스플레이와 컴퓨터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수출도 각각 16.2%, 24.5% 늘어났다.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휴대폰 부품 수출이 아세안을 중심으로 회복하면서 지난해보다 5.5% 증가했다.

3개월간 이어진 마이너스 고리를 끊고 플러스로 전환한 것이다.

반도체發 봄바람에 수출 훈풍 계속…'침체기 효자'였던 車수출↓
그러나 지난해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사이 한국 수출을 떠받쳤던 자동차 수출은 지난 2월에 이어 3월에도 감소했다.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보다 5.0% 감소한 61억7천만달러였다.

지난 4월 조업일수가 1.5일(평일 기준 2일) 감소한 탓에 조업일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자동차 수출이 줄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다만 자동차 수출이 장기적인 마이너스 터널에 들어섰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조상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난해 자동차 수출이 반도체 부진을 상쇄할 정도로 호조를 보인 기저효과가 있고,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주춤한 상황이 맞물려 올해 들어 전기차 수출 감소가 두 달 연속 일어났다고 본다"고 말했다.

조 원장은 "그렇지만 한국 자동차 수출이 변곡점을 지나 하향 추세로 접어들었다고 보기엔 아직 어려운 지점이 있다"며 "미국의 금리 인하 시그널이 아직 안 나와서 자동차 등 고가의 내구재 수요 회복 여부도 올 상반기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도체發 봄바람에 수출 훈풍 계속…'침체기 효자'였던 車수출↓
◇ 대미수출, 두달 연속 대중수출 앞서…꾸준한 대미흑자 '독' 될까
중국은 전통적으로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었지만, 지난해 12월에는 대미(對美)수출이 대중 수출을 앞섰다.

2003년 6월 이후 20년 6개월 만이었다.

이후 지난 1월 중국은 수출액으로 미국을 4억4천300만달러 앞섰다가, 지난 2월 한 달 만에 다시 최대 수출국 자리를 미국에 내줬다.

지난 3월에도 2월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대미 수출 규모가 대중 수출보다 컸다.

지난 3월 대미 수출은 109억1천만달러로, 대중 수출(105억2천만달러)보다 4억달러가량 많았다.

지난 3월 대미 무역수지도 49억4천만달러로 집계돼 꾸준한 흑자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전체 대미 무역수지는 444억7천만달러였다.

각각 180억달러, 186억달러 적자를 기록한 중국과 일본에 비해 탄탄한 무역구조를 보인 셈이다.

이에 비해 대중 수출은 지난 2월 17개월 만에 '반짝 흑자'를 찍었다가 한달 만에 다시 8억8천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반도체發 봄바람에 수출 훈풍 계속…'침체기 효자'였던 車수출↓
지속적인 대미 무역수지 흑자 상황을 놓고 미국이 대한(對韓) 수입규제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에서 당선될 경우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를 거론하며 압박을 강화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은 지난달 27일 기자간담회에서 "우리 수출이 증가한 미국을 중심으로 미국의 대한 수입규제 확대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다"며 사전 대비 필요성을 강조했다.

산업연구원도 지난달 펴낸 보고서에서 "과거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 흑자 규모 등을 토대로 한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 한국이 각종 무역 제재를 우려했던 바 있다"며 "트럼프 후보가 당선될 경우 무역수지 흑자에 대한 압박이 강화될 가능성이 커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