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원짜리 사과 '반값'에 산다"…치솟는 물가에 몰려간 곳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격경쟁력 높은 이커머스 부각
'신선식품 직접 사야' 인식 균열
'신선식품 직접 사야' 인식 균열
치솟는 밥상물가에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온라인 쇼핑몰에서 신선식품을 구매하려는 손길이 부쩍 늘었다.
31일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 티몬에 따르면 지난 1∼25일 기준으로 과일 및 수산·건어물 거래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45% 급증했다.
채소류는 25%, 정육·계란류는 10%씩 거래액이 늘었다. 같은 기간 위메프에서도 과일(290%). 정육·계란(196%), 채소(36%), 수산·건어물(20%) 등 신선식품 모든 품목 거래액이 늘었다.
채소류는 시중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알려진 품목 수요가 두드러졌다. G마켓 판매 데이터를 보면 이달 1∼25일 기준 당근(112%)과 양파(53%), 대파(53%), 양배추(32%) 등의 판매량이 전년 대비 눈에 띄게 늘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 집계 기준으로 최근 한 달간 소매 가격 상승률이 낮게는 10%(당근), 높게는 40%(양배추) 가까이 오른 품목이다. 반면 과일은 국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 부각된 수입 과일 중심으로 구매가 많아졌다. 파인애플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257% 급증했고 바나나(46%), 망고(34%) 등도 많이 팔렸다.
국산 과일의 경우 비교적 가격이 안정적인 딸기(44%)가 준수한 판매 신장세를 보였지만 최근 몇 달 새 가격이 무섭게 뛰어 '금(金)사과'로 불린 사과는 판매 신장률이 8%에 그쳤다.
이처럼 최근 온라인에서의 신선식품 구매 수요가 급증한 것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 덕분이다.
예컨대 티몬에서 판매 중인 '못나도 맛난 부사 사과'(2㎏ 내외·10∼13과)의 판매가는 1만3500원으로 지난 29일 기준 aT KAMIS가 집계한 사과(후지·10개) 소매가격(2만4707원)보다 83% 싸다.
수입 과일도 마찬가지다. 위메프에서 판매하는 돌 스위티오 잎뗀 파인애플 3입짜리 가격은 1만230원, 개당 3410원으로 aT KAMIS 기준 소매가(7418원)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온라인 고유 저비용 구조에 다른 도·소매 유통 단계를 거치지 않는 산지 직송 또는 직수입 상품을 늘려 오프라인 유통 채널보다 더 저렴한 가격을 확보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가 온라인 쇼핑 시장 급성장을 불러왔듯 최근 밥상 물가 상승이 가격경쟁력을 갖춘 이커머스 신선식품 카테고리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기준 신선식품을 포함한 식·음료 카테고리 온라인 침투율은 22.8%로 30∼50%에 이르는 가전, 패션, 화장품 등 다른 카테고리에 비해 아직 낮다. 온라인 침투율은 전체 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전반적으로 온라인 시장 덩치가 커졌지만, 여전히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한 먹거리는 직접 신선도를 확인하고 사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날이 치솟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가격 민감도가 커지면서 이런 인식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고 업계는 판단하고 있다. 각 업체가 '콜드체인'(신선도를 유지하는 물류시스템) 등 신선식품 물류 투자를 강화하면서 과거에 비해 배송 상품의 질이 크게 나아진 것도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31일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 티몬에 따르면 지난 1∼25일 기준으로 과일 및 수산·건어물 거래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45% 급증했다.
채소류는 25%, 정육·계란류는 10%씩 거래액이 늘었다. 같은 기간 위메프에서도 과일(290%). 정육·계란(196%), 채소(36%), 수산·건어물(20%) 등 신선식품 모든 품목 거래액이 늘었다.
채소류는 시중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알려진 품목 수요가 두드러졌다. G마켓 판매 데이터를 보면 이달 1∼25일 기준 당근(112%)과 양파(53%), 대파(53%), 양배추(32%) 등의 판매량이 전년 대비 눈에 띄게 늘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 집계 기준으로 최근 한 달간 소매 가격 상승률이 낮게는 10%(당근), 높게는 40%(양배추) 가까이 오른 품목이다. 반면 과일은 국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 부각된 수입 과일 중심으로 구매가 많아졌다. 파인애플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257% 급증했고 바나나(46%), 망고(34%) 등도 많이 팔렸다.
국산 과일의 경우 비교적 가격이 안정적인 딸기(44%)가 준수한 판매 신장세를 보였지만 최근 몇 달 새 가격이 무섭게 뛰어 '금(金)사과'로 불린 사과는 판매 신장률이 8%에 그쳤다.
이처럼 최근 온라인에서의 신선식품 구매 수요가 급증한 것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 덕분이다.
예컨대 티몬에서 판매 중인 '못나도 맛난 부사 사과'(2㎏ 내외·10∼13과)의 판매가는 1만3500원으로 지난 29일 기준 aT KAMIS가 집계한 사과(후지·10개) 소매가격(2만4707원)보다 83% 싸다.
수입 과일도 마찬가지다. 위메프에서 판매하는 돌 스위티오 잎뗀 파인애플 3입짜리 가격은 1만230원, 개당 3410원으로 aT KAMIS 기준 소매가(7418원)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온라인 고유 저비용 구조에 다른 도·소매 유통 단계를 거치지 않는 산지 직송 또는 직수입 상품을 늘려 오프라인 유통 채널보다 더 저렴한 가격을 확보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가 온라인 쇼핑 시장 급성장을 불러왔듯 최근 밥상 물가 상승이 가격경쟁력을 갖춘 이커머스 신선식품 카테고리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기준 신선식품을 포함한 식·음료 카테고리 온라인 침투율은 22.8%로 30∼50%에 이르는 가전, 패션, 화장품 등 다른 카테고리에 비해 아직 낮다. 온라인 침투율은 전체 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전반적으로 온라인 시장 덩치가 커졌지만, 여전히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한 먹거리는 직접 신선도를 확인하고 사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날이 치솟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가격 민감도가 커지면서 이런 인식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고 업계는 판단하고 있다. 각 업체가 '콜드체인'(신선도를 유지하는 물류시스템) 등 신선식품 물류 투자를 강화하면서 과거에 비해 배송 상품의 질이 크게 나아진 것도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