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우주 R&D 예산 1.5조로 늘리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주산업 클러스터' 출범
'사천·고흥·대전' 삼각축 체제로
위성 개발·인재 양성 등 시너지
전용 펀드도 1000억으로 확대
장기적으론 100조 민간투자 유치
우주기업 1000개 육성도 목표
'사천·고흥·대전' 삼각축 체제로
위성 개발·인재 양성 등 시너지
전용 펀드도 1000억으로 확대
장기적으론 100조 민간투자 유치
우주기업 1000개 육성도 목표
정부가 오는 5월 말 우주항공청 개청을 앞두고 2045년까지 세계 수준의 우주 기업 10개를 배출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이를 위해 대전, 경남 사천, 전남 고흥을 중심으로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2045년까지 관련 기업 1000개를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열린 대한민국 우주산업 클러스터 출범식에 참석해 “1%에 불과한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2045년까지 1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100조원의 민간 투자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 해인 2027년까지 우주 개발 예산을 1조5000억원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미래는 우주 경제를 선도하는 우주 강국이 세계를 주도할 것”이라며 “우주 기술이 안보 경쟁에 머물던 시대는 지났고 이제는 신산업을 탄생시키는 미래 성장동력이 됐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위성 제조 △우주 통신 △우주 발사체 △우주 자원 △우주 관광 △우주 태양광 등 산업을 거론했다. 모건스탠리와 씨티그룹 등에 따르면 2040년 우주 경제 규모는 2조7000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우주산업 클러스터와 관련해 몇 가지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사천에는 위성 개발 클린룸 등을 포함한 위성개발혁신센터를 구축한다. 고흥에는 발사체 구성품 제작이 가능한 대형 3차원(3D) 프린터 등 장비와 발사체 기술센터를 세운다. 또 2030년까지 고흥에 173만㎡ 규모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를 완공한다.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하고 2026년 착공할 방침이다. 대전에는 도킹, 로버(이동형 탐사로봇) 기술 등을 배우는 우주인재양성센터를 설립한다.
윤 대통령은 우주산업 클러스터에 대해 “기업들이 마음껏 도전하며 꿈을 이뤄가는 우주 항해의 베이스캠프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클러스터에 입주할 스타트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할 것”이라며 “1000개의 우주기업을 육성하고 이 가운데 10개는 월드 클래스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덧붙였다.
과기정통부는 2027년까지 500억원 규모로 조성하기로 한 우주 분야 전용 펀드를 1000억원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펀드 약정총액의 20~30%는 우주산업 클러스터 내 유망 입주 기업에 투자하도록 해 우주 기업 생태계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클러스터 발전을 위한 5개년 기본계획, 인허가 의제, 재정 지원 등의 근거를 담은 특별법도 제정하기로 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케네디우주센터, 프랑스 툴루즈 등 해외 우주산업 클러스터와 기술·인재 교류도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대통령이 의장으로 있는 국가우주위원회를 중심으로 주요 정책사항을 의결하고 올해 하반기 별도 법인 형태의 사업단을 구성해 클러스터 개발을 맡기기로 했다. 우주항공청에 우주산업 클러스터 업무를 전담하는 ‘우주항공산업국’도 신설한다.
윤 대통령은 “과감한 지원과 효율적 투자로 우주시대를 향한 국민과의 약속을 반드시 이뤄내겠다”며 “한강의 기적, 반도체의 기적에 이어 대한민국의 세 번째 기적은 우주의 기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경주/도병욱 기자 qurasoha@hankyung.com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열린 대한민국 우주산업 클러스터 출범식에 참석해 “1%에 불과한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2045년까지 1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100조원의 민간 투자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 해인 2027년까지 우주 개발 예산을 1조5000억원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미래는 우주 경제를 선도하는 우주 강국이 세계를 주도할 것”이라며 “우주 기술이 안보 경쟁에 머물던 시대는 지났고 이제는 신산업을 탄생시키는 미래 성장동력이 됐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위성 제조 △우주 통신 △우주 발사체 △우주 자원 △우주 관광 △우주 태양광 등 산업을 거론했다. 모건스탠리와 씨티그룹 등에 따르면 2040년 우주 경제 규모는 2조7000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우주산업 클러스터와 관련해 몇 가지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사천에는 위성 개발 클린룸 등을 포함한 위성개발혁신센터를 구축한다. 고흥에는 발사체 구성품 제작이 가능한 대형 3차원(3D) 프린터 등 장비와 발사체 기술센터를 세운다. 또 2030년까지 고흥에 173만㎡ 규모 우주발사체 국가산업단지를 완공한다.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하고 2026년 착공할 방침이다. 대전에는 도킹, 로버(이동형 탐사로봇) 기술 등을 배우는 우주인재양성센터를 설립한다.
윤 대통령은 우주산업 클러스터에 대해 “기업들이 마음껏 도전하며 꿈을 이뤄가는 우주 항해의 베이스캠프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클러스터에 입주할 스타트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할 것”이라며 “1000개의 우주기업을 육성하고 이 가운데 10개는 월드 클래스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덧붙였다.
과기정통부는 2027년까지 500억원 규모로 조성하기로 한 우주 분야 전용 펀드를 1000억원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펀드 약정총액의 20~30%는 우주산업 클러스터 내 유망 입주 기업에 투자하도록 해 우주 기업 생태계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클러스터 발전을 위한 5개년 기본계획, 인허가 의제, 재정 지원 등의 근거를 담은 특별법도 제정하기로 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케네디우주센터, 프랑스 툴루즈 등 해외 우주산업 클러스터와 기술·인재 교류도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대통령이 의장으로 있는 국가우주위원회를 중심으로 주요 정책사항을 의결하고 올해 하반기 별도 법인 형태의 사업단을 구성해 클러스터 개발을 맡기기로 했다. 우주항공청에 우주산업 클러스터 업무를 전담하는 ‘우주항공산업국’도 신설한다.
윤 대통령은 “과감한 지원과 효율적 투자로 우주시대를 향한 국민과의 약속을 반드시 이뤄내겠다”며 “한강의 기적, 반도체의 기적에 이어 대한민국의 세 번째 기적은 우주의 기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경주/도병욱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