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멋진 소설 덕에 어지러운 세상 잠시 잊었다"
“당당하게 얼굴을 보여주던 책이 등 돌리고 있으면 ‘아, 내 책의 수명이 끝났구나’ 생각해요.”

어느 작가의 말이다. 서점에서 베스트셀러나 신간 자리에 진열됐던 자신의 책이 시간의 흐름과 함께 귀퉁이로 옮겨지면 ‘더 이상 책을 발견해줄 독자가 있을까’라는 안타까움이 몰려온다고 했다.

2023년에도 ‘빛나는 책’들이 수없이 나왔다. 미처 당신이 발견하지 못한 사이에 등을 돌린 책도 있다. ‘책 덕후’들의 추천은 바쁜 일상 탓에 놓쳐버린 ‘인생 책’을 다시 마주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은 국내 최대 문화예술 포털 아르떼에 ‘탐나는 책’ 서평을 연재하고 있는 주요 출판사 편집자 12명에게 ‘올해의 책’을 한 권씩 추천받았다. 자신이 소속된 출판사의 책은 제외했다.
[책마을] "멋진 소설 덕에 어지러운 세상 잠시 잊었다"

내년엔 다시 소설에 빠져볼까

올해 베스트셀러는 <세이노의 가르침>을 위시한 자기계발서가 휩쓸었지만, 12권의 올해의 책은 소설판이다.

을유문화사의 을유세계문학전집은 ‘책의 재발견’이라는 키워드에 걸맞은 시리즈다. 1979년부터 1984년까지 간행했던 해외 걸작선에 포함된 작품을 재발굴해 새로 번역했다. 정기현 민음사 편집자는 이 시리즈 중 125번째 책인 버나드 맬러머드의 <점원>을 올해의 책으로 꼽았다. 허름한 거리에서 작은 식료품점을 운영하는 모리스의 나날을 다룬 소설이다. 먼지 냄새가 나는 건조하고 어두운 작은 가게, 그곳에 붙들린 것처럼 평생을 그 안에서 먹고 마시고 생각하는 사람들…. 소설이 전하는 막막함이 일상을 묵묵히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묘한 위로를 준다는 설명이다.

한 번 읽었더라도 다시 읽었을 때 새로운 해석을 안겨줄 만한 책도 있다. 이재현 문학동네 편집자가 추천한 정지돈의 연작소설집 <땅거미 질 때 샌디에이고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운전하며 소형 디지털 녹음기에 구술한, 막연히 LA/운전 시들이라고 생각하는 작품들의 모음>이 그런 경우다. ‘나’와 ‘엠’이 프랑스 파리와 서울을 배경으로 산책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다룬 네 편의 연작 소설이 ‘모빌리티(mobility)’에 대한 통찰로 엮인다. 여러 예술가를 인용하며 인간과 세계에 대한 다채로운 질문을 던지는 실험적 소설이다. 이 편집자는 “‘문학이 세계를 구원할 수 있다고 믿나요?’라고 물었던 정지돈의 탐구는 현재진행형”이라며 “그 부단히 변모하는 형식과 내용이 시대를 앞서 예감한다”고 했다.

구미가 당기는 추천평이 이어졌다. 백다흠 은행나무 편집장은 교보문고가 집계한 ‘소설가들이 뽑은 올해의 소설’에 선정된 권여선의 소설집 <각각의 계절>을 추천하며 “(모든 역량이 완벽한) 육각형 한국소설의 발견”이라며 “한때 이 소설로 어지러운 세상을 잠시 잊을 수 있었다”고 극찬했다.

우리는 어디로 가게 되는 걸까

연말은 한 해를 돌아보고 미래를 고민하기 좋은 때다. 정소연 세종서적 편집주간이 추천한 송길영의 <시대 예보: 핵개인의 시대>는 내일의 날씨에 대한 ‘일기예보’가 아니라 더 큰 호흡의 ‘시대예보’를 말한다. 정 편집주간은 “트렌드 실종이 트렌드인 시대, 이 책은 각자 스타일대로 건강하게 교류하며 잘 살아갈 방법을 전한다”고 설명했다.

최윤경 어크로스 편집장은 김희경의 <에이징 솔로>를 올해의 책으로 꼽았다. 이 책은 그간 1인 가구 논의에서 공백처럼 남아 있던 비혼 중년의 삶을 조명한 책이다. 최 편집장은 “고령 인구와 1인 가구가 급증하는 한국 사회에 매우 시기적절한 기획”이라며 “혼자가 될수록 사회적 연대와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준 책”이라고 했다.

페미니즘 역시 한국 사회의 영원한 화두다. 박은아 글항아리 편집자는 정희진의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을 추천했다. 한국 페미니즘의 교과서 <페미니즘 도전>을 18년 만에 다시 쓴 책이다. 박 편집자는 “여전히 공부하고 사유하고 개입하는 사상가의 현존을 도전의 계보와 거대 정신의 압력 속에서 확인시켜주는 동시대적 텍스트가 반갑다”고 평가했다.

김현주 문학과지성사 편집장은 안드레아스 말름의 <화석 자본>을 올해의 책으로 꼽으며 “번역되길 오랫동안 기다려온 책”이라고 했다. 이 책은 화석연료 체제의 기원을 살피며 기후 재앙에서 벗어날 방도를 모색한다. 김 편집장은 “기후 위기를 만들어낸 것은 현재의 경제 시스템 그 자체임을 훌륭하게 드러낸다”며 “인류라는 종 내부의 분열을 평가절하하는 인류세 서사를 날카롭게 논박하는 부분도 흥미롭다”고 읽기를 권했다.

구은서/임근호/안시욱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