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8년만에 정권교체…'친EU' 새정부 13일 출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총리 신임 투표 예상대로 부결…민족주의 우파 정부 실각
외신 "전정부 정책 번복하면 한국 방산계약도 영향 가능성" 8년간 집권한 폴란드 민족주의 우파 성향 법과정의당(PiS)가 11일(현지시간) 실각했다.
이날 오후 폴란드 하원에서 실시된 PiS 소속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총리에 대한 신임 투표가 부결됐다.
하원은 이날 오후 총선에서 과반 확보에 성공한 야권 연합을 이끄는 도날트 프란치셰크 투스크(66) 전 총리를 차기 총리 후보로 공식 지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투스크 총리 후보와 새 내각 구성에 대한 찬반 투표가 이뤄지지만 야권연합이 하원을 사실상 장악한 만큼 큰 이변이 없다면 정권 교체는 기정사실이다.
모든 표결 절차가 끝나면 13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이 새 정부 출범을 공식 선언한다.
총리 자리를 예약한 투스크는 2007∼2014년 총리를 역임했고 2014년부터 5년간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을 맡았다.
모라비에츠키 총리에 대한 신임투표 부결은 일찌감치 예견됐다.
PiS가 10월 총선에서 제1당 자리를 지키긴 했으나 과반 확보에 실패한 데다 다른 주요 정당이 PiS와 연립정부를 구성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어 재집권 가능성이 희박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두다 대통령이 지난달 6일 PiS에 정부 구성 기회를 먼저 위임하면서 집권 세력의 '시간 끌기' 전술이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두다 대통령은 현재 공식적인 당적은 없지만 PiS의 지지를 받아 2015년과 2020년 대선에서 승리하는 등 PiS측 인사로 분류된다.
모라비에츠키 총리가 예상대로 새 정부 구성에 실패했고 이날 신임 투표도 최종 부결되면서 결국 PiS의 '시한부 정권 연장'도 마침표를 찍게 됐다.
야권연합 측은 이미 총선 이후 회의를 거쳐 각료 분배 등 정부 구성 방안에 내부적으로 합의한 상태다.
PiS는 2015년 집권 이래 권위주의를 강화하고 EU와 잦은 분쟁을 벌였다.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폴란드가 우크라이나 지원의 교두보로 역할 하면서 양측의 충돌은 수면 아래로 일단 가라앉았다.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출신인 투스크가 이끄는 야권연합은 폴란드를 친EU 노선으로 복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야권연합이 집권하자마자 전 정부 시절 추진된 각종 정책이나 핵심 사업을 번복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이미 체결된 한-폴란드 간 방산 계약에 불똥이 튈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야권 연합의 일원인 '폴란드 2050' 소속 시몬 호워브니아 하원의장은 전날 현지 방송 인터뷰에서 "PiS 임시 정부가 서명한 합의는 무효가 될 수도 있다"며 10월 15일 총선 이후 PiS는 예산을 쓰지 않고 국가 관리에만 권한을 제한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발언을 두고 로이터통신은 한국의 방산 수출에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는 분석을 내놨다.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도 지난달 폴란드의 정권 교체 이슈에 자금 부족까지 겹치면서 무기 수출 계약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보도한 바 있다.
/연합뉴스
외신 "전정부 정책 번복하면 한국 방산계약도 영향 가능성" 8년간 집권한 폴란드 민족주의 우파 성향 법과정의당(PiS)가 11일(현지시간) 실각했다.
이날 오후 폴란드 하원에서 실시된 PiS 소속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총리에 대한 신임 투표가 부결됐다.
하원은 이날 오후 총선에서 과반 확보에 성공한 야권 연합을 이끄는 도날트 프란치셰크 투스크(66) 전 총리를 차기 총리 후보로 공식 지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투스크 총리 후보와 새 내각 구성에 대한 찬반 투표가 이뤄지지만 야권연합이 하원을 사실상 장악한 만큼 큰 이변이 없다면 정권 교체는 기정사실이다.
모든 표결 절차가 끝나면 13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이 새 정부 출범을 공식 선언한다.
총리 자리를 예약한 투스크는 2007∼2014년 총리를 역임했고 2014년부터 5년간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을 맡았다.
모라비에츠키 총리에 대한 신임투표 부결은 일찌감치 예견됐다.
PiS가 10월 총선에서 제1당 자리를 지키긴 했으나 과반 확보에 실패한 데다 다른 주요 정당이 PiS와 연립정부를 구성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어 재집권 가능성이 희박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두다 대통령이 지난달 6일 PiS에 정부 구성 기회를 먼저 위임하면서 집권 세력의 '시간 끌기' 전술이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두다 대통령은 현재 공식적인 당적은 없지만 PiS의 지지를 받아 2015년과 2020년 대선에서 승리하는 등 PiS측 인사로 분류된다.
모라비에츠키 총리가 예상대로 새 정부 구성에 실패했고 이날 신임 투표도 최종 부결되면서 결국 PiS의 '시한부 정권 연장'도 마침표를 찍게 됐다.
야권연합 측은 이미 총선 이후 회의를 거쳐 각료 분배 등 정부 구성 방안에 내부적으로 합의한 상태다.
PiS는 2015년 집권 이래 권위주의를 강화하고 EU와 잦은 분쟁을 벌였다.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폴란드가 우크라이나 지원의 교두보로 역할 하면서 양측의 충돌은 수면 아래로 일단 가라앉았다.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출신인 투스크가 이끄는 야권연합은 폴란드를 친EU 노선으로 복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야권연합이 집권하자마자 전 정부 시절 추진된 각종 정책이나 핵심 사업을 번복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이미 체결된 한-폴란드 간 방산 계약에 불똥이 튈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야권 연합의 일원인 '폴란드 2050' 소속 시몬 호워브니아 하원의장은 전날 현지 방송 인터뷰에서 "PiS 임시 정부가 서명한 합의는 무효가 될 수도 있다"며 10월 15일 총선 이후 PiS는 예산을 쓰지 않고 국가 관리에만 권한을 제한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발언을 두고 로이터통신은 한국의 방산 수출에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는 분석을 내놨다.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도 지난달 폴란드의 정권 교체 이슈에 자금 부족까지 겹치면서 무기 수출 계약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보도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