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AI센터 부사장이 지난 8일 서울 우면동 삼성전자 R&D캠퍼스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 2023’에서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삼성 가우스’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AI센터 부사장이 지난 8일 서울 우면동 삼성전자 R&D캠퍼스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 2023’에서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삼성 가우스’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인공지능(AI) 서비스가 서버나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는 ‘온 디바이스 AI 기술’ 시대가 열렸다. 기기에 내장된 AI가 이용자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고 알아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글에 이어 삼성전자도 온 디바이스 AI 모델을 공개했다. 서버 걱정 없는 ‘신개념 AI 서비스’가 일상을 파고들 전망이다.

○서버 안 거쳐…더 빠르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서울 우면동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열린 ‘삼성 AI포럼 2023’에서 생성형 AI 모델 삼성 가우스를 공개했다. 삼성 가우스의 브랜드명은 정규 분포 이론을 정립한 천재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서 따왔다.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 널리 활용되는 가우스의 이론처럼 삼성 AI도 무한한 분야에 활용될 것이란 뜻을 담았다.

"서버 안 거쳐 더 빠르다"…삼성도 출사표 던진 '온 디바이스 AI' [정지은의 산업노트]
업계에선 삼성 가우스가 ‘온디바이스’에 최적화된 AI라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온 디바이스 AI는 모바일이나 자율주행자동차 등 기기 자체에서 AI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온 디바이스 AI는 외부 서버나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는 게 최대 장점으로 꼽힌다. ‘챗GPT’ 등 기존 AI 서비스 대부분 중앙컴퓨터로부터 데이터·연산을 지원받는 ‘클라우드 AI’ 형태로 제공된다. 높은 수준의 AI 기술을 구현하려면 대규모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신 연결이나 지연으로 AI 성능이 떨어지는 게 한계였다.

업계 관계자는 “온 디바이스 AI는 기기에서 직접 AI를 구동하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드는 데다 정보처리 속도가 빠르다”며 “통신 성능 저하 문제를 걱정할 일도 없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삼성 가우스를 기점으로 온 디바이스 AI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사내 활용을 넘어 다양한 제품에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구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온 디바이스 AI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도 유용해서다.

○내 손 안의 생성 AI

삼성 가우스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세부 기능은 언어 모델, 코드 모델, 이미지 모델 등 세 가지로 구성됐다. 언어 모델은 이메일 작성, 문서 요약, 번역 등의 업무를 더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코드 모델의 대표 기능인 ‘코드아이’ 어시스턴트는 소프트웨어(SW) 개발자가 쉽고 빠르게 코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미지 모델은 사진과 그림 등 이미지를 만들고, 기존 이미지를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도록 돕는다.

삼성 가우스는 내년 1월 공개될 갤럭시S24 시리즈에 온 디바이스 AI 형태로 장착될 전망이다. ‘내 손 안의 생성 AI’가 본격 이뤄지는 셈이다. 갤럭시S24에 장착된 삼성 가우스를 통해 문장을 요약하며 문법을 교정하는 것은 기본이다. 문자로 사물을 묘사하면 이를 이미지로 바꿔주는 AI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생성 AI 기술 경쟁 치열

구글도 최근 온 디바이스 AI 칩인 ‘텐서G3’를 장착한 스마트폰 ‘픽셀8’을 선보였다. 픽셀8에는 지난달 AI 비서인 구글 어시스턴트와 생성 AI 바드를 결합한 ‘어시스턴트 위드 바드’를 적용했다. 바드의 추론·생성 능력을 바탕으로 이메일 관리 등 각종 업무 처리가 한층 편리해질 전망이다. 레노버가 소유한 브랜드 모토로라도 온디바이스 AI 기능인 모토AI를 공개했다.

업계에선 생성 AI 시장이 커지면서 관련 서비스나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삼성전자는 이르면 다음달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임직원용 생성 AI도 공개한다. 이 서비스는 삼성전자가 네이버와 손잡고 공동 개발 중이다.c자체 생성 AI ‘하이퍼클로바X’를 보유한 네이버와 시너지를 내겠다는 목표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