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농식품 수출액이 올 들어 처음으로 전년 대비 증가세로 전환했다. 한류 인기에 힘입어 라면, 밥, 김치 등 한국인의 단골 밥상 메뉴들이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고, 딸기 배 등 국산 품종 과일도 수출시장에서 선전하면서다.

글로벌 K푸드 인기에…농식품 수출 '플러스' 전환
농림축산식품부는 올초부터 9월 2주차(9월 16일)까지 농식품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 증가한 63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뿐만 아니라 스마트팜, 농기자재 등 농업 전후방산업을 포함한 소위 ‘K푸드+(K-Food+)’ 수출액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84억6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역대 최고치인 88억3000만달러를 기록한 농식품 수출은 올 들어 세계적 경기 둔화 여파로 상반기까지 다소 저조한 흐름을 보였다. 하반기 들어 중국 미국 유럽 등 주요 수출 시장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이어지며 9월 들어 전년 대비 증가세로 전환했다.

올해 수출은 라면, 밥, 김치 등 ‘3총사’가 주도하고 있다. 올해로 출시 60년을 맞은 한국 라면은 올 들어 지난 16일까지 6억5700만달러의 수출액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23.5% 증가했다. 불닭볶음면 등 한국 특유의 매운 라면들이 해외 유튜버의 ‘매운맛 도전’ 과제가 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미국 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냉동김밥을 필두로 한 쌀가공식품 수출액도 1억45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6.2% 증가했다. 한국의 오랜 수출 상품인 김치 역시 한식의 인기와 함께 수출액 1억13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9.9% 늘었다.

국산 과일의 선전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 수출 상품으로 자리잡은 딸기는 전년 대비 26.9% 증가한 5200만달러어치가 수출됐다. 그간 수출 주력 품종이던 금실 외에 커다란 과육과 높은 당도로 유명한 ‘킹스베리’, 단맛이 강한 ‘비타베리’ 등 국산 신품종이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배 또한 당도가 높고 아삭한 특유의 식감으로 미국, 유럽 등에서 인기를 끌며 전년 대비 18.1% 증가한 3200만달러 수출액을 올렸다.

새로운 수출 상품으로 떠오른 스마트팜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국가에서 수주가 이어지며 수출액(수주액 포함)이 2억38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2.8% 증가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