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여전히 고평가됐다"…한은의 경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은 14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금융 불균형의 누증은 부동산을 중심으로 진행돼 자원배분의 효율성 저하, 부동산 경기에 대한 경제 취약성 등 부작용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아울러 "금융 불균형의 정도가 최근 다시 누증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중장기 안정 성장을 도모하려면 금융 불균형이 일정 수준 이하에서 관리돼야 한다"며 "과거 사례에 비춰 국내 금융 불균형 누증에서 부동산이 핵심 메커니즘으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관련 정책은 긴 시계에서 일관되게 수립·시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작년 말 기준 105.0%)은 부채가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확대되는 임계치(80∼100%)를 웃돌고 있다.
ADVERTISEMENT
금융 불균형 대응책의 경우 주요국의 사례에서 대출 규제 등 거시건전성 정책(MPP)과 통화정책(MP)이 공조할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됐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MPP와 MP 간 정책 조합의 유효성이 부족했다는 반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2014년 MPP와 MP의 동시 완화는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간 '강화적 상호 작용'을 일으켜 불균형을 심화했다"며 "2020년 이후 팬데믹에 대응한 MP 완화도 MPP 긴축 효과를 제약하며 시차를 두고 불균형이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