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네바다주에서 발견된 세계 최대 규모의 리튬 점토층은 리튬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에 판도를 바꿔 놓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글로벌 리튬 공급망은 중국이 장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리튬 점토층 발견으로 미국의 입지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세계 리튬 역학 관계 바뀔 수도”

美 '리튬 잭팟'…中 주도 공급망 대변화 예고
12일(현지시간) 외신들에 따르면 네바다주 맥더밋 칼데라(화산 폭발 후 수축으로 생긴 함몰 지형)에서 발견된 리튬 매장량은 2000만~4000만t 규모로 추산된다. 연구팀은 붕괴된 화산 분화구에 묻혀 있을 수 있는 리튬까지 더하면 매장량이 최대 1억2000만t에 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기존 100만t에 불과했던 미국 내 리튬 매장량이 최대 120배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누크 보스트 벨기에 루벤대 지질학과 교수는 데일리메일과의 인터뷰에서 “이 추정이 사실이라면 가격, 공급 안정성, 지정학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리튬의 역학 관계가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리튬 점토층은 1640만 년 전 화산 폭발의 결과로 만들어졌다. 폭발로 생겨난 분화구는 호수가 됐다. 호수 바닥에는 풍화된 주변 물질이 점토가 풍부한 퇴적층을 형성했다. 이후 추가 화산활동이 이어졌고 열기가 물을 증발시켰다. 그 결과 퇴적물이 리튬과 칼륨이 풍부한 알칼리성 염수에 노출됐다. 이렇게 만들어진 일라이트 층에 리튬이 쌓였다.

탐사팀이 학술지 사이언스어드밴스를 통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새로 발견된 점토층의 리튬 농도는 일반적인 리튬 광산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맥더밋화산 폭발의 독특한 조건이 리튬이 풍부한 입자 형성을 초래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리튬 경쟁에서 뒤처진 미국의 반격

대규모 리튬 매장지 발견은 미국이 친환경 광물 공급망을 장악한 중국에 대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미국의 지난해 리튬이온 배터리 수입액은 139억달러로 2020년 대비 세 배 가까이 급증했다. 대부분 중국산이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일부 배터리를 수입했다. 한국과 일본의 배터리도 중국에 리튬을 의존하고 있어 중국이 마음만 먹으면 공급을 차단하거나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은 큰 위협으로 지적된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이를 국가안보 문제로 여기고 자체 자원 개발에 나서는 한편 공급처를 다변화하는 등 대책 마련에 한창이다.

친환경 및 탄소 배출 저감 정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2030년께 판매되는 차량 중 전기차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로 전기차 충전소 건설에 75억달러를 투자하는 등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타일러 코윈 조지메이슨대 경제학과 교수는 블룸버그통신 기고문에서 “전기차가 급증하고 리튬 배터리의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리튬 부족이 쉽게 해결되기는 어렵다”면서도 “이번 리튬 발견이 검증된다면 미국 전기차에 대한 투자가 국가 안보에 대한 우려로 가득 차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본격적인 광산 개발을 위해선 아메리카 원주민 등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를 넘어야 한다. 현재 기술로는 추출 과정에서 리튬 1t에 50만L 이상의 물이 사용되며, 연간 6만t의 리튬을 생산하려면 최대 3000만t의 흙을 파내야 해 주변을 황폐화시킬 우려가 높다. 이 때문에 새로 발견된 매장지 인근 태커패스광산은 지난 3년 동안 원주민 파이우츠 부족의 시위와 소송에 시달렸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