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일자리사업, 생활권으로 혁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인 영남대 교수, 일자리 창출 근정포장 수상
'주 3일 연구원, 2일 회사원' 등
경북 맞춤 혁신 일자리 빌드업
최근 정부 평가 최고상 휩쓸어
'주 3일 연구원, 2일 회사원' 등
경북 맞춤 혁신 일자리 빌드업
최근 정부 평가 최고상 휩쓸어

4일 고용노동부 일자리창출 유공자포상에서 근정포장을 수상한 전인 영남대 교수(경영학과 49·사진)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자리정책 담당 기관이 현장을 파악하고 그에 맞춰 전략을 세우는 과정에 집중하는 전략(‘빌드업’ 전략)이 주효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ADVERTISEMENT
그는 고용부 일자리 사업 주체가 지역고용센터에서 지자체로 무게중심이 바뀐 후 일자리사업을 담당하는 기관 역량을 강화하는 ‘빌드업’에 힘을 쏟았다. 축구로 비유하자면 수비(현장)와 미드필드(지자체와 사업 수행기관)를 다진 것이다.
전 교수는 “돈만 내려주고 숫자만 포장하는 방식으로는 일자리 사업의 혁신은 요원하다”고 진단했다. 경상북도와 22개 시·군, 29개 사업 수행기관 담당자를 전문직화하고 현장에 특화한 창의적 사업을 유도했다. 정부 공모사업을 많이 따내고 부족하면 자체 예산을 연계하자 사업 전반에 활기가 돌았다.
ADVERTISEMENT
경북은 ‘고선패’ 평가 3년 연속 최고상을 받았다. 일자리사업의 사각지대였던 북부권과 동해안권에도 농식품·수산기업의 연구개발(R&D)과 규모화를 지원했다. 기업이 뽑은 연구인력이 주 3일은 전문연구원으로, 2일은 기업으로 출근하게 하는 방식으로 기업 R&D를 지원하고 일자리를 창출했다.
전 교수는 “일자리사업은 지자체장의 평가와 직결돼 기초, 광역 단위를 뛰어넘기가 어렵다”며 “이 장벽을 없애니 생활권 일자리 사업이 나왔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매주 적어도 사흘은 기업이나 수행기관 현장에 머무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그는 “노사 관계와 이론을 연구하지만 역시 중요한 것은 현장”이라며 “나라 살림살이가 어려운 만큼 일자리 사업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경산=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