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철민 교수
신철민 교수
노년기에 들어서면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과거에는 당연하게 여겼던 신체 능력이 떨어지는 데다 사회적 관계도 하나둘 끊어지면서 우울증 등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별다른 증상 변화 없이 입맛이 떨어지거나 만사가 귀찮아지는 증상 등을 호소하는 고령층도 많다. ‘가면성 우울증’이다.

신철민 고려대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가면성 우울증은 스스로 우울하지 않다고 말할 뿐 아니라 표정에서도 우울한 느낌을 파악하기 어렵다”며 “멀쩡한 겉모습과는 달리 식욕부진, 소화불량, 두통, 근육통, 불면증 등의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 가면성 우울증의 특징”이라고 했다.

노년기엔 은퇴, 가까운 사람과의 사별, 자식과의 불화, 대인관계 단절, 빈곤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 탓에 우울증이 생기기 쉽다.

노년기 우울증이 시작되면 초기엔 특별한 감정 변화 없이 잠이 오지 않고 입맛이 떨어지는 증상 등을 호소한다. 식사 등을 하는 것조차 귀찮아지고 몸 이곳저곳이 아프지만, 병원을 찾아 검사하면 별다른 이상이 없는 사례도 많다. 집중력이 떨어지고 기억이 흐릿해지면서 치매를 의심하기도 한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가면을 쓰고 있는 것처럼 우울함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가면성 우울증을 의심해야 한다.

노년기 우울증은 다른 질환에 비해 치료 효과가 크다. 일반적으로 우울증은 급성기에 치료하면 70~80% 정도는 개선된다. 우울증 치료로는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효과적이다. 약물 부작용이 예전에 비해 많이 감소했기 때문에 경도 우울증부터 약물치료를 권하는 추세다.

신 교수는 “약물 치료에는 항콜린성 부작용에 취약한 노인의 특성상 삼환계 항우울제보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많이 사용하고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억제제는 통증에도 효과가 있어 통증을 동반한 노인에게 처방한다”고 말했다. 환자들은 평생 약을 먹어야 할까 봐 우려하기도 하는데 꾸준히 치료하면 더 이상 약을 먹지 않아도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모든 질환과 마찬가지로 노년기 우울증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규칙적 생활과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하고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해야 한다. 부정적 생각은 없애고 즐거운 생각을 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가족들의 관심도 필요하다. 만약 환자가 자살에 관해 이야기한다면 반드시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