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인근 도로에서 열린 서초 서이초 교사 추모식 및 교사생존권을 위한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교사 처우 개선 등을 촉구하고 있다. / 사진=뉴스1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인근 도로에서 열린 서초 서이초 교사 추모식 및 교사생존권을 위한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교사 처우 개선 등을 촉구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이병태 카이스트 교수가 최근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사 극단적 선택 사건의 원인으로 '교권 추락', '학부모 갑질' 등이 지목되는 상황에 대해 "자살과 교권의 훼손이 정말 인과관계가 있는 일인가, 교사가 자살한 사회적 문제의 원인이 교권의 붕괴 때문인가 하는 의문이 있다"고 주장했다. 특정 학생이나 학부모의 문제라는 억울함을 호소한 유언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여론이 '사회적 폭력의 피해자'로 단정하고 있다는 취지다.

이 교수는 지난달 31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만약 교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무모의 무도한 태도가 원인이고 이게 사회적 문제라면 우리는 교사들의 자살이 다른 직종보다 높다는 증거가 필요하다. 교사는 더 자살을 많이 하는 위험 직종이라면 이 호들갑이 이해가 된다"면서 이렇게 적었다.

이 교수는 "모든 직종의 사람들이 자살을 한다. 즉, 직종과 상관없이 사람들은 어떤 심리 상태에 이르면 자살이라는 지극히 예외적인 선택을 한다. 이 사례가 그런 다른 사례와 다른 경우라는 증거가 있냐"며 "내가 한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에 대해 우려하는 이유는 이처럼 개별적이고 개인적인 사안일 수도 있는데, 바로 사회적 폭력의 피해자로 단정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병태 카이스트 교수. / 사진=한경DB
이병태 카이스트 교수. / 사진=한경DB
이 교수는 "자살이 외부 요인 때문이라면 이것은 자살이 아니라 타살로 봐야 한다. 이런 인과관계를 무시한 피해자 단정은 만약 그것이 원인이 아니라면 우리는 근거도 없이 어느 학생과 그 학부모를 살인자 또는 타인을 자살을 하게 만든 무서운 사람으로 모는 것과 같다"며 "만약 그 학생과 학부모와 갈등이 평상의 범주 내였다면, 교사에게 항의를 했을 학생과 학부모가 억울하게 겪을 정신적 트라우마와 죄의식을 갖고 살게 만드는 가해를 우리가 가하고 있지도 모른다는 것은 고려하고 있냐"고 반문했다.

그는 "교사가 전문직인 것은 해당 교과 과목의 지식의 전문가라는 뜻만은 아니다. 국어 교사, 수학 교사, 영어 교사의 공통점은 교사라는 전문성이다. 교육자는 피교육자의 심리와 행동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며 "교육은 교과 과정뿐만 아니라 교실에 대한 장악과 피교육자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이해와 지도 능력이 포함돼 있다고 우리는 가정해야 한다. 그 직무 범위는 때로는 감정 조절에 실패하는 학부모를 상대하는 일도 포함된다"고 했다.

이어 "이런 이해와 준비가 없이 교사가 되었고, 모든 학생과 학부모가 늘 감사하고 천사처럼 구는 직업으로 알고, 자신이 갈등을 감내하는 힘이 얼마인지 모르고 교사를 선택했다면 그것은 직업을 잘못 선택한 불행한 한 젊은이의 좌절일 수도 있다"며 "즉 교육도 사람을 다루는 감정 노동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선생님은 모두 존경받는다는 환상 속에 마음이 여린 분이 직업을 잘못 택한 것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24일 오후 대구 수성구 대구시교육청 옆 분수공원에 마련된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 A씨 추모 공간에 시민들의 추모 메시지가 빼곡히 붙어 있다. / 사진=뉴스1
24일 오후 대구 수성구 대구시교육청 옆 분수공원에 마련된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 A씨 추모 공간에 시민들의 추모 메시지가 빼곡히 붙어 있다. / 사진=뉴스1
그러면서 "보도에 따르면 자진(自盡)한 교사는 특정 학생이나 학부모의 문제로 죽는다는 억울함을 호소한 유언을 남긴 것이 없다고 하는데, 왜 이런 위험한 단정들을 하냐"며 "캐디의 암 발생률이 같은 나이 대의 비슷한 환경의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다는 증거가 없는 한 세 명의 암 발생을 갖고 골프장 농약 탓이라는 주장을 할 수는 없다. 그 캐디가 담배를 피워서 그런지, 태양에 노출이 심해서 그럴 수도 있고 그저 평균적인 암 발생의 사례들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18일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사 A(24) 씨가 교내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교육계에서는 A씨가 일부 학부모의 악성 민원에 시달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사망 경위를 제대로 규명해달라는 요구가 나오자 교육부는 서울시교육청과 합동조사단을 꾸려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다. 경찰도 관련 사안을 조사하고 있다.

이 가운데 경찰은 이날 A씨가 극단적 선택을 하기 전 학생 다툼 문제로 접촉한 학부모와 여러 차례 통화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른바 '연필 사건'이 발생한 12일부터 고인이 사망한 18일까지 A씨와 학부모 사이에 통화가 여러 차례 있었다"고 전했다.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인근 도로에서 열린 서이초 교사 추모식 및 교사생존권을 위한 집회에서 한 참가자가 추모 영상을 보며 흐르는 눈물을 닦고 있다. / 사진=뉴스1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인근 도로에서 열린 서이초 교사 추모식 및 교사생존권을 위한 집회에서 한 참가자가 추모 영상을 보며 흐르는 눈물을 닦고 있다. / 사진=뉴스1
A씨 사망 경위를 조사 중인 서울 서초경찰서는 지난달 24일 학부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A씨 휴대폰 통화내역을 분석했다. '연필 사건'은 A씨가 맡은 학급에서 한 학생이 다른 학생의 이마를 연필로 긁은 일이다. 일각에서는 이 건에 대한 학부모 민원이 거세 고인이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실이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5월부터 올해 7월까지 학교 측에 10차례(지난해 2건, 올해 8건) 상담을 신청했다. 특히 숨진 달에만 3건의 상담을 요청했고, 그중 2건은 '연필 사건' 관련 요청이었다.

A씨는 지난달 13일 상담을 요청하면서 전날 발생한 연필 사건을 보고했고, 학교 측은 학생과 학생 학부모의 만남을 주선해 사안을 해결했다. 하지만 A씨는 이후 다시 연필 사건에 대해 상담을 요청하면서 "연필 사건이 잘 해결됐다고 안도했지만, 연필 사건 관련 학부모가 개인번호로 여러 번 전화해서 놀랐고 소름 끼쳤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에 학교 측은 A씨에게 "전화번호를 얼른 바꾸라"고 답한 것으로 파악됐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