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연구팀, 온실가스 감축 화학공정 기술 개발
전남대학교는 화학과 나경수 교수 연구팀이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화학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온실가스의 주성분인 이산화탄소와 온실가스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메탄가스를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해 두 가스를 직접 결합해 아세트산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값싼 금속산화물 표면에서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아세트산을 단일 생성물로 얻어냈다.

특히,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활성화 조건이 같았을 때 아세트산의 생산성이 극대화됨을 확인했다.

고가의 수소를 활용하지 않고, 외부 산화제 없이 단일 공정을 통해 메탄을 고부가 화합물로 전환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C1가스리파이너리사업의 단독 지원으로 수행됐다.

화학 및 환경공학 계열의 최상위 저널인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B:환경 분야(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 IF: 22.1, JCR 상위 1% 이내)'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나경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고부가 물질로 전환하는 새로운 반응 공정으로서, 기존의 다양한 수소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과 다양한 산화제를 활용한 메탄 부분 산화 기술을 포괄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연구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