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년 1월 1일부터 '모든 도민이 편리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도입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2년 9월 시내버스 안정화 종합대책 발표 이후 11개월 만
-더 친절하고, 안전
-더 친절하고, 안전

ADVERTISEMENT
경기도가 내년 1월 1일부터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도입하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2022년 9월 시내버스 안정화 종합대책 발표 이후 11개월 만이다.
ADVERTISEMENT
이어 오늘 발표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더 친절하고, 안전하며, 정확한 시간에 도착하는 버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것으로 시내버스에 대한 공적관리를 강화한 것이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기본 지원금과 성과이윤으로 운영되는 기존 준공영제와 달리 100% 성과이윤으로 진행된다.
ADVERTISEMENT
공공관리제 적용 대상은 내년 1월 1일 시내버스 1200대를 시작으로 오는 2027년까지 도의 전체 시내버스 6200대(1100여 노선)를 전환할 계획이다.
도는 공공관리제 도입에 필요한 예산은 오는 2027년 전면 시행 기준으로 연간 총 1조 100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했다. 예산 부담 비율은 도비와 시군비 3대 7로 일괄 적용된다.
ADVERTISEMENT
도는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선을 효율적으로 재편성하고, 민영제 재정지원 폐지 등 불필요한 예산, 재정 중복지원 등을 방지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도는 이와 함께 내년 공공관리제 시행에 맞춰 도 대중교통 이용체계 개편 용역을 실시해 5년마다 노선 정기개편을 의무화 하기로 했다.
도는 이를 통해 굴곡이 심해 비효율적인 노선을 직선화하거나, 광역급행철도(GTX) 도입에 맞춰 노선을 재편성하는 등 버스 노선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이 밖에 도는 공공관리제 전면 시행 시점인 2027년에는 적자노선 지원금, 환승 할인 손실지원 등 현행 민영제 버스 재정지원 제도도 폐지할 계획이다.
오후석 도 행정2부지사는 "모든 도민께서 언제 어디서나 ‘경기도 버스’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환경조성을 목표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추진과 더불어 체계적인 교통정책을 수립하고, 도민이 원하는 교통서비스 구현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의정부=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