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반년째 한국 경제가 둔화하고 있다는 진단을 이어가면서도 하방 위험이 완화되고 있다는 긍정적 전망을 내놨다. 올 하반기 경기 반등을 통해 상저하고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는 정부의 기대가 현실화할 지 주목된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7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 중심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의 경기 둔화 판단은 지난 2월부터 6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5월 제조업 생산이 1년 전보다 7.5% 감소하는 등 제조업 중심의 부진이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정부는 “수출 부진 일부 완화, 완만한 내수·경제 심리의 개선세, 견조한 고용 등으로 하방 위험이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그린북에서 ‘하방 위험 다소 완화’라고 표현한 대목에서 ‘다소’라는 표현이 빠지는 등 경기 반등에 더 힘이 실린 분석이다. 특히 경기 둔화의 주요 배경으로 ‘수출·제조업’에서 ‘수출’이 빠지는 등 수출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옅어졌다.

그린북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6.0% 감소했다. 수출이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감소율은 연중 최저 수준이었다. 다만 수입이 11.7% 감소하면서 무역수지는 11억3000만달러 흑자를 냈다. 무역흑자는 16개월 만에 처음이다.

5월 경상수지는 19억3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돼 전월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6월 경상수지는 여행수지 등 서비스 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있지만, 무역흑자 등에 힘입어 흑자 폭이 확대될 것이라는 게 정부 전망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기준 2.7%로 21개월 만에 2%대로 내려앉았다. 정부는 “물가 상승세 둔화 흐름이 뚜렷하다”고 표현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대외적으로는 정보기술(IT) 업황에 대한 개선 기대가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에 대한 기대감과 제약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생경제 안정과 경제체질 개선 등을 위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의 주요 정책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