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우특보가 발효된 28일 광주 북구 임동 광천2교 인근 광주천이 범람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호우특보가 발효된 28일 광주 북구 임동 광천2교 인근 광주천이 범람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내일(29일)부터 다시 전국에 비가 오겠다. 다른 지역보다 비가 많이 온 제주·호남·경남에 또 '많고 강한 비'가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현재 정체전선은 대한해협 부근으로 물러난 상태다. 전날 오후부터 이날 오전까지 호남과 경남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호남의 경우 정체전선 외 대기 상층 차고 건조한 공기가 하층으로 침강하면서 형성한 중규모 저기압 영향까지 더해져 이례적으로 많은 비가 쏟아졌다.

광주에는 전날 정오 이후 누적 강수량이 274.6㎜인데 이는 광주 평년(1991~2020년 평균) 7월 강수량(294.2㎜)과 맞먹는다. 하룻밤에 한 달 치 비가 내린 셈이다.

29일에는 중국 내륙에서 발달한 저기압을 동반한 정체전선이 접근해오면서 중부지방부터 시작해 전국에 비가 내리겠다. 30일에는 저기압과 정체전선이 분리된 상황에서 정체전선이 남하하면서 남부지방과 제주를 중심으로 비가 오겠다. 29~30일 예상 강수량은 호남과 제주 100~200㎜(많은 곳 250㎜ 이상), 수도권·강원내륙·강원산지·충청·영남·서해5도 50~120㎜(수도권·강원내륙·강원산지·충청북부·경남서부·서해5도 많은 곳 150㎜ 이상), 강원동해안 20~80㎜, 울릉도와 독도 5~30㎜이다.
호우경보가 발효된 27일 오후 광주 서구 금호2동 주민센터 앞 교차로가 물에 잠겨 있다. 사진=연합뉴스
호우경보가 발효된 27일 오후 광주 서구 금호2동 주민센터 앞 교차로가 물에 잠겨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번에도 비가 매우 거세게 쏟아질 때가 있겠다. 29일 낮부터 밤까지는 중부지방에, 29일 오후부터 30일 낮까지는 남부지방에, 30일 아침부터 밤까지는 제주에 시간당 30~60㎜의 비가 내리겠다.

다음 달 1일에는 정체전선이 제주 주변에 머물면서 제주와 전남·경남을 중심으로 비가 내리겠다. 남부지방과 제주는 내달 3일까지 비가 이어지겠는데 이는 정체전선이 제주와 남해안 근처에서 오르락내리락하거나 정체할 것이기 때문이다. 중부지방은 다음 달 1~3일 흐린 가운데 내륙을 중심으로 폭염특보가 내려질 정도로 무덥겠다. 하지를 갓 지난 지금이 태양의 복사에너지가 가장 강하게 들어올 때여서 비가 내리지 않으면 매우 더울 수밖에 없다.

7월 4일 저기압을 동반한 정체전선 때문에 또 한 차례 전국에 비가 예상된다. 현재는 4일 오후에만 비 예보가 돼 있지만 4일 오전이나 5일에도 비가 올 가능성이 충분한 상황이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