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유혈사태 내가 막았다"…프리고진 "전복 노린건 아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푸틴, 반란 사태 이후 첫 등장
흠집난 리더십 회복 안간힘
프리고진은 SNS에 '생존 신고'
흠집난 리더십 회복 안간힘
프리고진은 SNS에 '생존 신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국내외 행보를 통해 자신의 건재를 과시했다. 군사기업 바그너의 반란이 일단락된 후 처음 모습을 드러낸 푸틴 대통령은 “유혈사태를 피하기 위해 바그너그룹이 진격하도록 내버려 뒀다”고 밝혔고, 바그너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 역시 “러시아 정부 전복을 위해 행진한 것이 아니었다”고 꼬리를 내렸다.
푸틴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TV 연설을 통해 “무장 반란은 어떤 경우든 진압됐을 것이며 모든 협박과 혼란은 결국 실패할 운명이었다”며 “사태 처음부터 (군에) 유혈사태를 피하도록 지시를 내렸다”고 말했다. 반란군이 모스크바 200㎞ 앞까지 진군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이 자비를 베풀었기 때문이란 주장이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을 겨냥해선 “국가 반역자와 러시아의 적들이 원하는 것은 동족상잔이었다”고 비난했다. 이어 바그너 용병들의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하고 “국방부와 계약하거나 집에 가도 된다”며 “아니면 벨라루스로 가라”고 했다.
푸틴 대통령은 연설 뒤 곧바로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부 장관과 주요 보안기관 책임자를 모아 회의를 주재했다. 반란의 단초를 제공한 쇼이구 장관은 물론 사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는 사법·정보기관장 등을 신임해 권력 구도 안정을 재확인한 것으로 외신들은 평가했다.
푸틴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을 비롯해 카타르, 이란 등 우방국 정상과 전화 통화를 하면서 이번 사태와 관련해 논의했다. 크렘린궁은 “무함마드 대통령은 러시아 리더십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프리고진은 이날 텔레그램을 통해 무장반란 중단 이후 첫 공개 메시지로 “우리는 공격 의사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부군의) 미사일과 헬리콥터 공격을 받았다”며 “‘정의의 행진’ 목적은 바그너그룹의 파괴를 피하는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반란 사건은) 러시아 체재 내에서의 투쟁에 불과하다”며 “우린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일축했다. 러시아가 주춤하는 사이 우크라이나는 드니프로강을 넘어 남부로 진격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푸틴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TV 연설을 통해 “무장 반란은 어떤 경우든 진압됐을 것이며 모든 협박과 혼란은 결국 실패할 운명이었다”며 “사태 처음부터 (군에) 유혈사태를 피하도록 지시를 내렸다”고 말했다. 반란군이 모스크바 200㎞ 앞까지 진군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이 자비를 베풀었기 때문이란 주장이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을 겨냥해선 “국가 반역자와 러시아의 적들이 원하는 것은 동족상잔이었다”고 비난했다. 이어 바그너 용병들의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하고 “국방부와 계약하거나 집에 가도 된다”며 “아니면 벨라루스로 가라”고 했다.
푸틴 대통령은 연설 뒤 곧바로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부 장관과 주요 보안기관 책임자를 모아 회의를 주재했다. 반란의 단초를 제공한 쇼이구 장관은 물론 사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는 사법·정보기관장 등을 신임해 권력 구도 안정을 재확인한 것으로 외신들은 평가했다.
푸틴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을 비롯해 카타르, 이란 등 우방국 정상과 전화 통화를 하면서 이번 사태와 관련해 논의했다. 크렘린궁은 “무함마드 대통령은 러시아 리더십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프리고진은 이날 텔레그램을 통해 무장반란 중단 이후 첫 공개 메시지로 “우리는 공격 의사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부군의) 미사일과 헬리콥터 공격을 받았다”며 “‘정의의 행진’ 목적은 바그너그룹의 파괴를 피하는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반란 사건은) 러시아 체재 내에서의 투쟁에 불과하다”며 “우린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일축했다. 러시아가 주춤하는 사이 우크라이나는 드니프로강을 넘어 남부로 진격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