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들이 텃밭인 지방자치단체 금고 입찰전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거액의 자금을 동원해 지자체 금고 공략을 강화하면서다.

시중銀 공세에…'지자체 금고' 뺏기는 지방은행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전국 946개 지자체 금고 가운데 부산 대구 경남 광주 전북 제주 등 6개 지방은행이 차지한 비율은 21.5%(204개)로 집계됐다. 대구은행이 57개로 가장 많았고 광주(44개) 경남(38개) 부산(35개) 전북(26개) 제주은행(3개) 순이었다. 일반회계 등 주요 자금 관리 업무를 맡는 1금고로 좁히면 지방은행 비중은 전체 244개 금고 중 36개인 14.8%에 그쳤다.

지자체 금고 은행이 되면 세입금 수납과 유휴 자금 보관 등을 도맡는다. 사실상 ‘제로(0)’에 가까운 조달 비용을 통해 대규모 예금을 유치하고, 지자체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금융상품 판매 등 연계 영업도 가능해 은행 간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금고 은행 선정 주기는 3~4년이다.

규모가 큰 광역자치단체도 해당 지방은행을 1금고로 지정하지 않은 곳이 적지 않다. 권역 내 지방은행을 보유한 광역단체 9곳 중 절반이 넘는 5개 시·도(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가 1금고로 농협은행을 지정했다. 경북은 1·2금고를 모두 농협은행이 맡았다.

올해도 대구 울산 등 34개 지자체 금고 은행 약정이 만료돼 은행들의 금고 확보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시중은행은 올 상반기 지자체 출연금을 지급하는 등 이미 금고 유치전에 나섰다. 은행연합회 이익제공 공시에 따르면 6월 기준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이 지자체에 지급한 협력사업비 등 출연금은 562억8800만원에 달했다. 지방은행 중에선 경남은행만 11억원을 출연한 것과 대조적이다.

지방은행의 위기감은 커지고 있다. 지방은행들은 이달 초 금융당국에 지자체 금고 은행으로 지방은행이 지정될 수 있게 우선권을 부여하거나 법제화를 추진해달라고 요청했다. 금융당국은 행정안전부나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에 지방 금고 유치 관련 건의 사항을 전달하기로 했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