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어떻게 하면 물가가 빠르게 안정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국민들께 제대로 알릴 수 있을까요. 국민 생활에 밀접한 체감물가도 뚜렷하게 안정화되는 추세입니다.”

물가정책을 담당하는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은 작년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모든 부처를 통틀어 가장 바쁜 부서 중 하나로 꼽힌다. 정부가 최우선 경제정책 과제로 ‘물가 안정’을 내세웠기 때문이다. 매달 초 발표하는 소비자물가동향 뿐 아니라 매달 중·하순마다 나오는 주요 품목의 세부적인 가격 동향까지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에게 일일이 보고한다.

올 초까지만 해도 경제정책국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어두웠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6월(6.0%) 6%대로 올라선 뒤 7월 6.3%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8월부터 올 1월까지 6개월 연속 5% 상승률을 보였다. 좀처럼 잡히지 않는 물가에 경제정책국 간부들의 속이 시커멓게 타들어 갔다고 했다.

그러다가 지난 2월 4.8%, 3월 4.2%로 내려왔다. 지난 4월엔 3.7%로, 2022년 2월(3.7%) 이후 14개월 만에 3%대로 떨어졌다. 지난달엔 3.3%로, 2021년 10월(3.2%) 이래 1년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제정책국 간부급 관계자는 “물가가 4% 초반대로 떨어졌을 때 주변에서 고생했다고 격려받았다”며 “4%대 숫자에 그런 격려를 받은 건 난생처음”이라고 털어놨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3%까지 떨어지면서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까지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고물가 터널’의 끝이 보이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정책국의 ‘물가 고민’은 오히려 더 깊어졌다고 했다.

빠르게 안정세에 접어든 물가에도 현실과 괴리됐다며 이를 믿지 않는 국민들이 상당수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정부가 물가통계를 조작하고 있다는 ‘통계 괴담’까지도 등장했다.

통상 통계상 물가 숫자와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물가 간 차이는 일반적이다. 특히 소비자는 본인이 자주 구매하는 상품 가격이 올랐을 경우 물가가 오른다고 생각한다. 이른바 ‘바스켓 효과’다. 전체 물가가 아무리 낮더라도 본인이 구입한 장바구니에 담긴 품목의 가격이 오르면 이를 전체 물가상승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 소비자동향조사’에서 지난달 소비자들의 물가 인식은 4.7%였다. 실제 물가 상승률(3.3%)보다 1.4%포인트 높았다. 이는 물가 상승률이 0%대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우려가 제기됐던 2019년에도 마찬가지였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9월부터 12월의 물가 상승률은 4개월 연속 0.4%였다. 반면 당시 소비자들의 물가 인식은 1.8~1.9%였다. 이른바 ‘D’의 공포가 우려되는 상황이었지만 당시에도 물가가 지나치게 뛰었다는 여론이 적지 않았다.

이 때문에 소비자물가 조사 대상에 포함된 상품·서비스가 국민 생활과 거리가 먼 품목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기재부와 통계청은 소비자물가 조사 대상에 포함된 상품·서비스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물가 조사의 핵심은 전체 소비자가 평균적으로 어떤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하는 데 많은 돈을 지출하는지 여부다.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된 상품·서비스는 458개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를 통해 각 품목의 소비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에 가중치도 둔다.

야당과 일부 경제학자들은 근원물가와 체감물가가 높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정부를 비난하고 있다. 추 부총리가 지난 14일 여당 공부 모임에서 “물가에 대해서 주눅들 필요 없다”고 밝힌 것도 이런 지적을 의식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시 추 부총리는 “물가를 안정시키니까 (야당에서) 체감물가, 생활물가는 여전히 안 좋다고 말을 한다”며 “5월 생활물가도 3.2%로 20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이 지난달 3.2%를 기록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 1년 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 폭이다. 생활물가지수는 구입 빈도가 잦고 지출 비중이 큰 144개 품목이 조사 대상이다. 농·축·수산물 등 실생활에 밀접한 품목의 물가라는 뜻이다. 생활물가지수 오름폭은 같은 달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3.3%)보다 0.1%포인트 낮았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보다 낮아진 것은 2021년 1월 후 처음이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다른 국가에 비해서도 한국의 물가는 빠르게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다.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0%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지난 4월 물가 상승률은 7.0%에 달한다. 독일은 7.6%, 프랑스는 6.9%에 이른다. 전 세계에서 한국보다 물가 상승률이 낮은 국가는 그리스, 덴마크, 일본 등으로 손에 꼽을 정도다.

기재부 관계자는 “체감물가를 비롯한 전체 물가는 빠르게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다”며 “조만간 2%대 진입이 확실시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