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구시장(왼쪽)이 13일 시청에서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와 베어로보틱스 테크센터 투자 협약을 맺었다.  대구시 제공
홍준표 대구시장(왼쪽)이 13일 시청에서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와 베어로보틱스 테크센터 투자 협약을 맺었다. 대구시 제공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 5대 미래산업을 이끌 앵커기업을 잇달아 유치했다. 대구시의 미래산업 클러스터 조성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대구시는 13일 미국 실리콘밸리의 서비스로봇 기업인 베어로보틱스와 서비스로봇 연구 및 제조시설인 베어로보틱스 테크센터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대구테크노폴리스에 2만2424㎡ 규모로 내년 말 준공할 예정이다.

하정우 대표는 “로봇 단위의 기술 개발 이외에도 서비스로봇의 클라우드 기반 관제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모빌리티 플랫폼을 구현해 글로벌 서비스로봇 선도기업이 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앵커기업인 베어로보틱스의 진출과 로봇기업의 집적은 예비타당성 조사 중인 국가로봇테스트필드사업의 통과와 함께 국내 대표 서비스로봇산업 클러스터로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대구의 로봇기업은 2017년 161개(전국의 7.3%)에서 2021년 말 233개(전국의 9.3%), 매출은 6647억원(12.0%)에서 9194억원(16.3%)으로 늘어났다.

대구에 '5대 미래산업 앵커기업' 몰려온다
모빌리티 분야는 구동모터를 중심으로 대구국가산단에 앵커기업이 집적되고 있다. 민선 8기 이후 미국 자동차부품업체인 보그워너(1만6016㎡, 4360만달러), 수도권 중견기업인 삼기(4만962㎡, 948억원), 경북에 본사를 둔 유림테크, 코아오토모티브(4만㎡, 760억원)가 대구 투자를 결정했다. 국내외 모터 앵커기업의 이런 투자는 대구를 모터산업의 글로벌 기지로 변신시키고 있다. 시가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에 신청한 모빌리티 모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의 지정 가능성도 높이고 있다.

시는 지난 1월 텔레칩스와 센서 및 차량용 전력 반도체 등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337억원 규모 투자협약을 맺었다. 이 회사는 2025년 8월까지 대구 수성알파시티(1039㎡)에 100명이 근무하는 연구소를 건립한다. 대구에 진출하는 최초의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팹리스)이자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 경쟁력을 갖춘 코스닥 상장사로 지역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에 구심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DGIST와 시는 파운드리 서비스를 담당할 D-FAB을 국비사업으로 구축 중이다.

ABB(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분야에서는 수성알파시티를 중심으로 최근 100여 개 기업이 대구로 몰려들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달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디지털혁신거점으로도 선정됐다. 김광묵 대구시 원스톱기업투자센터장은 “첨단 물류공항으로 추진 중인 대구경북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통과되고 사업자 선정이 본격화하면서 글로벌 앵커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대구 산업 판도를 바꿀 글로벌 기업 유치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