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는 도내 방위산업 기술이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될 수 있도록 ‘방산전략기술 지정 협의체’를 운영한다고 12일 발표했다.

도는 정부 정책 기조에 따라 도내 방산기업의 첨단기술이 국가(첨단)전략기술에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체를 구성했으며, 첫 번째 회의를 이날 창원대에서 열었다. 회의에는 도와 창원대, 경남테크노파크를 비롯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산업 등 방산기업 여덟 곳이 참석했다.

방산기술의 국가전략기술 신규 지정은 방위산업 관련 기업체가 많은 창원의 특성을 고려해 방위사업청과 함께 진행하는 과제다. 방사청은 방산기업의 기술혁신 및 신규 투자 활성화, 양질의 인재 확보, 첨단 방위산업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의 ‘국가첨단전략기술’과 기획재정부의 ‘국가전략기술’에 방산 기술을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경상남도는 방위산업을 경남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방산부품연구원 설립, 방위산업 분야 국가첨단전략기술 지정, 방산기술 혁신펀드 조성, 방위산업발전협의회 설치, 경남 방산수출지원단 구성 등 5대 분야, 31개 세부과제를 담은 ‘경남 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방위산업의 고도화와 첨단화를 통해 방위산업이 지역경제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도내 방산업체가 갖춘 기술이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되도록 중앙부처에 적극 건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