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용의 한류 이야기] AI기반 대중문화 콘텐츠, 윤리 로드맵이 필요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챗GPT가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전 세계 대학이 서둘러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학생들이 챗GPT를 이용해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표절 문제가 현안으로 등장하자 각 대학은 교수들이 이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며 학생들은 어떤 용도로 이를 사용해야 하는지 등을 포함한 윤리의식 고양책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최근 대학가에서 이슈로 떠오른 챗GPT 문제는 무엇보다 인공지능(AI) 시대에 살고 있는 현세대가 맞닥뜨린 현안이고, AI 관련 윤리 문제는 대학교뿐 아니라 AI를 사용하거나 AI에 의존하고 있는 모든 관계기관과 산업계의 과제이기도 하다.
특히 AI가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분야 중 하나가 대중문화 제작이라는 점에서 문화산업계 역시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과 이에 관련된 윤리 문제에 직면해 있다. 실제로 ‘에스파’나 ‘K/DA’ 등 AI로 만들어진 K팝 그룹이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인 ‘정이’(2003) 역시 AI 사이보그 전사와 이에 따른 윤리 문제를 다루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웹툰 플랫폼은 AI를 이용해 웹툰 제작을 시도하고 있다. 올 1월 미국에서 열린 한 학회에서는 “2025년까지 문화 콘텐츠 제작에서 90% 이상이 AI 기술의 도움을 받거나 이에 기반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AI 기반 문화 콘텐츠 생산과 관련한 윤리 문제는 이미 여러 측면에서 등장하고 있다. 2020년 문제가 된 ‘이루다 사태’는 AI 기술의 부작용과 윤리 문제의 중요성을 일깨운 바 있다. 이루다는 20세 여대생 콘셉트의 AI 챗봇으로 출시와 동시에 많은 관심을 받았으나 서비스 시작 직후 성착취와 차별 논란 때문에 서비스가 중단됐다. 일부 사용자가 이루다에게 성적인 대화를 유도했고, 장애인·성소수자 등에 대한 혐오 발언도 불거졌다. 해외에서도 AI 관련 윤리 문제가 곳곳에서 등장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AI 알고리즘을 이용해 문화 콘텐츠 사용자의 소비 행태를 촉발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사용하는가 하면, 소셜미디어 기업인 메타가 페이스북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해 광고 전략에 이용하는 등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AI 관련 윤리 문제가 현실화되면 해당 제품과 기업은 치명상을 입게 된다는 점이다. 페이스북이 메타로 사명까지 교체해야 했던 이유 역시 기업 윤리 문제와 직결돼 있다.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이 급증하면서 한국도 이런 문제를 중요하게 받아들이고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최근 세계 문화시장에서 가장 각광받는 대중문화가 한류 콘텐츠라는 데 이견은 없다. 중요한 것은 문화 콘텐츠 제작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한류는 하나의 작품이나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이제 한국이라는 국가를 상징하고 있다는 점이다. 급증하는 AI 기반 한류 콘텐츠가 윤리 문제를 일으킬 경우 그 피해는 상상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정부와 문화산업계, 그리고 관련 학계는 한편으로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 역량을 확대해나가되 다른 한편에선 필요한 윤리 제정을 단행해야 한다.
2020년대 들어 메타버스, 챗GPT,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는 AI와 인간이 어떻게 공존해야 하는지가 매우 중요해졌다. 챗GPT가 대학에서 학생들의 글쓰기 윤리 문제를 재고하게 만든 것처럼, 급증하는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과 이에 따른 윤리 문제는 문화산업계 전체가 미리 대비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다.
진달용 사이먼프레이저대 특훈교수
특히 AI가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분야 중 하나가 대중문화 제작이라는 점에서 문화산업계 역시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과 이에 관련된 윤리 문제에 직면해 있다. 실제로 ‘에스파’나 ‘K/DA’ 등 AI로 만들어진 K팝 그룹이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인 ‘정이’(2003) 역시 AI 사이보그 전사와 이에 따른 윤리 문제를 다루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웹툰 플랫폼은 AI를 이용해 웹툰 제작을 시도하고 있다. 올 1월 미국에서 열린 한 학회에서는 “2025년까지 문화 콘텐츠 제작에서 90% 이상이 AI 기술의 도움을 받거나 이에 기반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AI 기반 문화 콘텐츠 생산과 관련한 윤리 문제는 이미 여러 측면에서 등장하고 있다. 2020년 문제가 된 ‘이루다 사태’는 AI 기술의 부작용과 윤리 문제의 중요성을 일깨운 바 있다. 이루다는 20세 여대생 콘셉트의 AI 챗봇으로 출시와 동시에 많은 관심을 받았으나 서비스 시작 직후 성착취와 차별 논란 때문에 서비스가 중단됐다. 일부 사용자가 이루다에게 성적인 대화를 유도했고, 장애인·성소수자 등에 대한 혐오 발언도 불거졌다. 해외에서도 AI 관련 윤리 문제가 곳곳에서 등장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AI 알고리즘을 이용해 문화 콘텐츠 사용자의 소비 행태를 촉발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사용하는가 하면, 소셜미디어 기업인 메타가 페이스북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해 광고 전략에 이용하는 등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AI 관련 윤리 문제가 현실화되면 해당 제품과 기업은 치명상을 입게 된다는 점이다. 페이스북이 메타로 사명까지 교체해야 했던 이유 역시 기업 윤리 문제와 직결돼 있다.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이 급증하면서 한국도 이런 문제를 중요하게 받아들이고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최근 세계 문화시장에서 가장 각광받는 대중문화가 한류 콘텐츠라는 데 이견은 없다. 중요한 것은 문화 콘텐츠 제작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한류는 하나의 작품이나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이제 한국이라는 국가를 상징하고 있다는 점이다. 급증하는 AI 기반 한류 콘텐츠가 윤리 문제를 일으킬 경우 그 피해는 상상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정부와 문화산업계, 그리고 관련 학계는 한편으로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 역량을 확대해나가되 다른 한편에선 필요한 윤리 제정을 단행해야 한다.
2020년대 들어 메타버스, 챗GPT,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는 AI와 인간이 어떻게 공존해야 하는지가 매우 중요해졌다. 챗GPT가 대학에서 학생들의 글쓰기 윤리 문제를 재고하게 만든 것처럼, 급증하는 AI 기반 문화 콘텐츠 제작과 이에 따른 윤리 문제는 문화산업계 전체가 미리 대비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다.
진달용 사이먼프레이저대 특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