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사진)이 3월 빅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시사한 지 하루 만에 한 발 뒤로 물러섰다.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 폭을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재선 도전을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무언(無言)의 압력’을 받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파월 의장은 8일(현지시간) 미 하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와 관련해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며 “추가 자료를 검토할 때까지 (금리 인상폭에 대한) 결정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체 경제지표가 더 빠른 긴축이 정당하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며 전날 상원 은행위 청문회 때 발언을 되풀이했다. 하지만 오는 21~22일 FOMC 회의 때 결정될 금리 인상폭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전날 빅스텝 가능성이 대두되며 금융시장이 요동치자 파월 의장이 발언 수위를 조절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투자자문사 에버코어ISI는 “파월 의장이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 메시지를 덧붙인 것은 빅스텝이 디폴트(기본값)가 아니고 베이비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도 함께 고려할 것이란 신호”라고 설명했다.

백악관은 파월 의장이 전날 강한 긴축 의지를 드러내자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백악관 관계자는 “백악관이 Fed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단지 한 달치 데이터를 본 것이기 때문에 (긴축 강화로 돌아서기 전에) 숨을 고를 필요가 있다”고 했다.

파월 의장이 지난 1월 물가, 소비,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강하다고 지적했지만 백악관은 ‘장기적인 추세를 봐야 한다’며 사실상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힘을 실었다. 증시와 경기에 부담을 주는 금리 인상이 2024년 대선 출마 예정인 바이든 대통령에게 악재가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Fed는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Fed는 이날 내놓은 베이지북(경기동향 보고서)을 통해 “많은 지역에서 물가 상승세가 완화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업자는 소폭 늘어났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지난달 26일~이달 4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1만1000건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발표했다. 10주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며 블룸버그통신 추정치(19만5000건)를 웃돌았다.

10일 발표되는 2월 비농업 부문 고용자 수에 대해 블룸버그는 지난 1월 51만7000명보다 크게 줄어든 22만5000명 증가로 추정했다. 블룸버그는 “실제 고용자 수가 30만 명을 넘는 것으로 나오면 빅스텝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