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은 지난해 3월 2일 지주회사를 설립했다. 1968년 설립 후 54년 만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이었다. ‘제2의 창사’라는 말이 나왔을 만큼 전 직원이 들떠 있었다.

포스코홀딩스가 탄생한 지 1주년이 된 지난 2일의 분위기는 1년 전과 딴판이었다. 자료를 내지도 않았고, 행사도 없었다. 서울 본사는 아예 문을 닫았다. 3·1절과 주말 사이 개인 연차를 쓰게 해 전 직원을 쉬게 했다. 1년 전 파란색 그룹 깃발을 흔들던 최정우 회장도 특별한 일정이 없었다.

이렇다 할 성과가 없어서 조용한 돌잔치를 보냈다고 보기는 어렵다. 포스코홀딩스는 출범 직후부터 미래 먹거리를 주도적으로 챙겼다. 철강업에서 벗어나 미래산업으로 여겨지는 2차전지 산업을 그룹 차원에서 육성하는 데 전력투구했다.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가 2차전지에 들어가는 니켈과 리튬 등의 자원을 확보하고, 계열사가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전구체 등을 생산하는 체계를 갖췄다. 구체적인 성과도 내놨다. 포스코케미칼은 지난해 미국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양극재와 음극재 15조원어치를 수주했다. 올초엔 삼성SDI로부터 40조원 규모의 양극재 공급계약을 따내는 ‘대박’도 터뜨렸다.

1주년이 조용했던 것과 관련해 경제계 한 관계자는 “대통령실과 여당 의원들이 KT 등의 최고경영자(CEO) 선임 과정을 문제 삼자 주주총회를 앞둔 포스코가 잠행 모드에 들어간 것 같다”고 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정치적인 의미는 없고,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에 따라 내실을 다지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