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 14일 청주 육거리시장을 찾아 소상공인과 대화하고 있다. 이영 장관 페이스북 캡처
윤석열 대통령과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 14일 청주 육거리시장을 찾아 소상공인과 대화하고 있다. 이영 장관 페이스북 캡처
“‘소상공인’이라는 용어 대신 다르게 부를 수 있는 이름이 없을까요?”

중소벤처기업부 이대희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지난 16일 서울 마포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소상공인 용어를 바꿔 부를 수 있는 개념에 대한 의견을 구했다. 이 실장은 “소상공인에 들어있는 상인 이런 말은 사농공상이라고 부르던 조선시대 개념 같다”며 “미래지향적이지 않고 과거지향적인 느낌”이라고 지적했다.

과거지향적인 느낌이 들만한 건 그만큼 이 단어가 사용된 지 오래됐기 때문이다. 언론에서의 등장은 9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30년 조선일보 7월11일자에는 ‘경상, 경일양행 합동을 실현?’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기사에는 “금융기관의 합동은 곧 집중이니, 집중할수록 중소상공인을 상대로 하는 은행으로는 부적당한 것이니…”라고 적혀 있다.

국회에서는 1952년 2대 국회에서 처음 나왔다. 무소속 오의관 의원은 1952년 11월 12일 국회 본회의에서 “중소상공업자를 돕기 위해 적어도 중소상공업자를 위한 협동조합법을 시급히 국회에 제출해 주시기를 요청한다”고 ‘중소상공업자’라는 개념을 처음 썼다.

민주당 김도연 의원은 1956년 2월17일 국회 본회의에서 세금 문제를 거론하면서 “도시에 있어서는 소상공인이 과중한 부담을 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처음 ‘소상공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그만큼 공적 영역에서 100년 가까운 역사를 지닌 셈이다.

중기부가 명칭 변경을 시도하는 데엔 ‘골목벤처 육성 프로젝트’를 더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는 배경이 깔려 있다. 기업가형 소상공인을 키워 소기업, 중기업, 대기업으로까지 뻗어나가게하겠다는 의도다. 과거 창업벤처기업을 스타트업으로 부르기 시작하면서 더 세련되고 성장하는 느낌을 준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회의적인 시선도 만만치 않다. 소상공인 만큼 자영업자, 소기업을 포괄하는 직관적인 이름이 없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화통화에서 “큰그림으로 보면 말장난 하는 것처럼 비쳐질 수 있다”며 “업의 본질에 집중해 소상공인들이 더 커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꼬집었다.

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