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부통령 재임 당시 기밀 문건이 잇따라 유출된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다. 미 법무부는 특별검사(특검)를 임명하고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메릭 갈런드 미 법무장관은 12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의 기밀 문서 유출 사건을 조사하기 위한 특검에 로버트 허 전 메릴랜드주(州) 연방검찰처 검사장을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한국계인 허 특검은 하버드와 스탠포드 로스쿨을 졸업하고 법무부 수석차관보를 거쳤다. 2018년 4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메릴랜드주 연방검찰청 검사장을 지냈다.

앞서 중간선거 직전인 지난해 11월 2일 바이든 대통령의 개인 사무실에서 기밀 문건이 발견된 사실이 지난 9일 뒤늦게 공개됐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의 델라웨어 사저에서도 기밀 문건이 발견됐다.


메릭 갈런드 법무장관은 당초 시카고 연방검사에게 조사를 지시했으나, 두 번째 기밀문서 유출장소가 바이든 대통령의 자택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특별검사를 임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백악관 변호사인 리처드 사우버는 이날 오전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조사를 통해 이 문건들이 부주의하게 잘못 포함된 것으로 밝혀지기를 자신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이 사안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우리는 법무부 검토에 전적으로 완전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 변호사들은 집 창고와 파일 캐비닛에서 기밀이라고 찍힌 소량의 문서를 발견했고, 어젯밤 검토를 마쳤다. 법무부는 즉시 통보를 받았다"며 "우린 모든 사실이 드러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별도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문건의 존재 자체를 몰랐으며, 본인이 언급한 대로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