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자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이 확진자와 중증 환자, 사망자 수를 축소해 발표하고 있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적했다. 유럽연합(EU)은 27개 모든 회원국에 중국발 입국자에게 사전 검사를 도입하라고 권고했다.

마이클 라이언 WHO 비상대응팀장은 4일(현지시간)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현재 중국이 발표하는 통계는 입원 환자와 중환자, 사망자 등 측면에서 코로나19의 진정한 영향을 과소평가한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라이언 팀장은 코로나19 유행의 심각성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인 사망자 통계를 중국이 과소 산정하는 게 문제라고 꼬집었다. 중국은 코로나19 사망자를 정의할 때 코로나19 양성 판정과 호흡 부전을 겪다가 숨진 사례로 제한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사망자 수를 실제보다 매우 적게 나오게 한다는 설명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이날 “우리가 중국이 솔직하지 못하다는 식으로 얘기하면 그들은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중국의 코로나19 처리 방식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WHO는 5일 “중국 보건당국이 한동안 중단한 코로나19 정보 제공을 재개했다”며 “작년 12월 16일부터 올해 1월 1일까지 1주일간 중국의 코로나19 신규 입원자는 2만2416명으로 전주(1만5161명)보다 46%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EU 순환 의장국인 스웨덴은 4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통합정치위기대응(IPCR) 메커니즘 긴급회의에서 EU 차원의 ‘조율된 예방대책’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정부는 “중국에서 출발하는 모든 항공편 탑승객을 대상으로 48시간 이내 코로나19 음성 확인을 도입하는 방안을 회원국에 강력히 권장한다”고 했다. 관심을 모았던 중국발 입국자의 출발 전 코로나19 검사 ‘의무 시행’ 표현은 빠졌다.

하지만 5일 독일과 스웨덴, 벨기에 등 일부 회원국을 중심으로 “중국발 입국자는 입국 전 코로나19 음성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는 조치를 내놓기 시작해 관련 움직임은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경제매체 차이신이 조사하는 중국의 작년 1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로 집계됐다. 4개월 연속 위축 국면을 이어갔다. PMI는 기업의 구매와 인사 등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경기 동향 지표다. 50보다 위면 확장, 이보다 아래면 위축 국면으로 본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수요와 공급이 모두 부진했다는 분석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