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시험발사…노후 무수단·노동미사일 전략적 구멍 보완 필요성"
北 MRBM 발사…액체기종 대체할 고체 신형MRBM 또는 북극성 쐈나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한 달 만인 18일 중거리 탄도미사일(MRBM)을 쏘아 올려 그 의도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연말 국방부문 성과로 내세우고자 고체엔진을 적용한 신형 MRBM을 개발해 이날 시험 발사했거나 기존 북극성 계열 개량형을 쐈을 가능성 등 '마이웨이'식 미사일 개발 일환이라고 분석한다.

북한은 이날 오전 11시 13분께부터 12시 5분께까지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MRBM 2발을 발사했다.

고각으로 발사돼 약 500㎞를 비행한 뒤 동해상에 탄착했다.

통상 MRBM은 사거리 1천~2천500㎞가량의 미사일이다.

북한이 이날 쏜 2발은 고각이기 때문에 정상각도(30∼45도)로 발사했다면 1천∼2천㎞ 안팎으로 비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미사일의 발사 장소가 고체엔진 시험 시설이 있는 동창리이고, 발사 각도와 고도, 비행 거리 등을 고려할 때 단순 시위성 도발은 아니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기습 발사와 은밀성, 기동성 등을 갖춰 미사일 요격망을 회피할 수 있는 신형 고체엔진 미사일 개발과 관련 기술 축적 차원의 '시험발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분석한다.

이에 합참도 "한미 정보당국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 개발과 관련된 동향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분석 중에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15일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140tf(톤포스·140t 중량을 밀어 올리는 추력) 규모의 고체연료 로켓엔진의 지상분출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는데, 동계훈련 중인 북한이 그 후속 차원에서 고체연료 미사일 시험을 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도 "정상각도로 쐈다면 1천㎞ 이상 날아가 일본 열도를 넘겨 시위성으로 해석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그런데도 고도가 550㎞로 올라갈 만큼 굳이 고각으로 쏜 건 어디를 맞추려 한 게 아니라 시험적 성격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홍 실장은 "북한의 준중거리 미사일은 무수단·노동 정도인데 노후 기종이라 취약점이 많이 노출된 상태"라며 "북한 입장에선 전략적 구멍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존 준중거리 미사일인 무수단과 노동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며 정밀도가 떨어지는 등 노후한 기종이다.

이들 노후 기종을 대체할 새로운 MRBM 개발 시험 발사 또는 기존 준중거리 '북극성 계열 개량형'을 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사일은 통상 사거리로 분류할 때 1천∼2천500㎞ 내외의 경우 MRBM으로 분류하는데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보다는 길고,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보다는 사거리가 짧은 기종이다.

북한 기준으로 주일미군 기지가 사정권에 들어간다.

북한은 약 5년 전 MRBM '북극성-2형'을 개발했는데 기술적 결함을 보완할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北 MRBM 발사…액체기종 대체할 고체 신형MRBM 또는 북극성 쐈나
여기에다 북한이 한반도 긴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발을 재개했다는 분석도 있다.

북한은 9월 말부터 11월 중순까진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와 한미 연합훈련 등을 빌미로 하루가 멀다고 다양한 사거리의 탄도미사일과 방사포를 쏘아대는 한편 다수의 전투기를 출격시키며 긴장을 끌어올렸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휴지기를 가지면 긴장은 낮아지는 효과가 있는데 큰 비용을 들여 미사일을 발사함으로써 긴장을 고조시켜온 북한은 인제 와서 긴장이 낮아지길 원치 않는다"며 "12월 하순 예고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전까지 이런 도발이 계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궁극적으로는 7차 핵실험을 감행해 핵 능력을 보여줘 완벽한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고 한미의 비핵화 목표를 비현실적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일 것"이라며 "미국이 자신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한반도 긴장을 계속 끌고 나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각에선 북한이 이런 내부적 목적 외에도 외부 자극에 반발했을 가능성도 짚었다.

유엔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을 18년 연속으로 채택하고 일본이 적기지 반격 능력을 확보하는 안보전략을 채택한 데 반발 성격도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또한 남측이 곧 발간할 '2022 국방백서'에 북한정권과 북한군을 '적'으로 명시하는 표현을 담는 것도 자극받았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연말 성과 도출을 앞두고 실적용 발사로 보이지만, 일본의 방위정책 변화 등 북한을 둘러싼 압박 움직임에 대한 반발적 성격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