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기에 영유아기를 보낸 3명 중 1명은 연령에 맞는 발달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서울시가 13일 발표했다. 코로나19 이후 영유아의 언어, 정서, 인지, 사회성 등 발달 상황을 조사한 것은 서울시가 처음이다.

서울시는 지난 5월부터 11월까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와 함께 코로나19 시기를 겪은 만 0~5세 542명을 대상으로 ‘포스트 코로나 영유아 발달실태 조사’를 했다. 영유아 연령에 따라 언어, 인지, 정서 등 총 10개 검사를 해 발달 전반을 평가했다.

조사 결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총 456명)의 33%(152명)는 현재 발달에 어려움이 있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분야 정상 발달 아동은 52% 내외(237명)였다.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발달 향상이 필요한 아동은 15%(67명)로 나타났다. 도움이 필요한 발달 분야는 ‘전반적 발달’ ‘정서’ ‘언어’ ‘사회성’ 분야 순이었다. 2개 이상 분야에 어려움을 겪는 영유아도 46명에 달했다.

가정 양육 영유아(총 86명)를 대상으로 진행한 언어발달 검사에서는 정상 발달 59명(69%), 약간 지체 12명(14%), 언어발달 지체 15명(17%) 순이었다. 3명 중 1명이 언어발달이 지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실태조사에 그치지 않고, 영유아 발달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서울아이발달지원센터’를 내년 상반기 개소할 계획이다. 영유아 발달 상태를 염려하는 가정에 무료 초기 상담부터 발달 검사, 치료 연계까지 원스톱 지원한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