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바이든·기시다는 6월 나토 이어 2번째 '3자 회담'
'北미사일 실시간 정보공유·경제안보대화체 신설' 공동 성명
대통령실 "한미일 3국 정상간 포괄적 공동성명 채택은 처음"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3일(현지시간) 오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대북 확장억제를 강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북한 핵·미사일을 저지하기 위한 한미일간 긴밀한 공조가 이뤄지고 있음을 평가하는 한편,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을 위해 3국 협력을 더 강화할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3국 정상은 이날 오후 프놈펜의 한 호텔에서 15분간 회담을 진행했다.

한미일 회담 전후로 미일-한미-한일 양자 정상회담도 개최됐다.

한미일 정상회담은 지난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2번째다.

지난 6월 말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계기에 첫 회담을 열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한미일 공조는 보편적 가치를 수호하고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안정을 이루기 위한 강력한 보루"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이 핵·미사일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토대로 한층 더 적대적이고 공세적인 도발을 감행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기에 한미일 정상회담이 다시 개최된 데 대해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우리는 북한의 미사일·핵 위협을 우려하고 있다.

북한은 지속적으로 핵 도발을 계속하고 있다"며 "그래서 (한미일) 3자 파트너십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오늘 회의를 통해 한미일 (협력이) 더욱더 강화되기를 기대한다"는 윤 대통령 발언에 곧바로 "3자간 협력은 강력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화답하기도 했다.

기시다 총리도 "북한에 의한 전례없는 도발이 이어지고 있다.

추가적인 도발도 예정되는 가운데 오늘 이렇게 한미일 정상회담이 개최돼 매우 시의적절하다"며 "한미일 연계를 더욱 강화하고 의연하게 대응해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회담에서는 북핵 문제뿐 아니라 우크라이나와 대만 등 지역·글로벌 이슈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공세적인 부상을 견제하려는 미국의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도 앞서 모두발언에서 "공급망 강화, 경제회복력 강화, 그리고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도모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지원 강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에 관해서도 논의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러면서 "여러가지 과제에 대해서 우리 세 국가는 그 어느때보다도 행보를 같이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더 강력한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3국은 이날 회담에서 채택한 공동성명에서 ▲ 북 미사일에 관한 3국간 실시간 정보공유 의향 표명 ▲ 3국간 경제안보대화체 신설 등에 합의했다.

대통령실은 "한미일 3국 정상 간 포괄적인 성격의 공동성명을 채택한 것은 이번이 최초"라고 강조했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모두 모두발언을 통해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해 윤 대통령에 애도의 뜻을 표했다.

윤 대통령도 "우선 비극적인 일로 미국인 두 분과 일본인 두 분이 희생됐다"며 "안타깝고 비통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