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피벗 기대감 후퇴…"9월과 오버랩, 증시 변동성 확대 주의" [주간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권가 "9월 FOMC와 오버랩…2400선 어렵다"
"미 중간선거 이후 각국 정책변화로 시선 옮겨갈 듯"
"미 중간선거 이후 각국 정책변화로 시선 옮겨갈 듯"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80.03포인트(3.53%) 오른 2348.43에 장을 끝냈다. 지수는 지난 5거래일 동안 하루(11월 3일)를 빼고 전부 올랐다.
ADVERTISEMENT
코스닥지수는 전주 대비 6.26포인트(0.91%) 오른 693.89에 거래를 마쳤다. 전주 개인과 외국인은 5172억원, 103억원어치 순매수했고 기관 홀로 4600억원어치 팔아치웠다.
4일(현지시간) 3대 지수는 5거래일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01.97포인트(1.26%) 오른 3만2403.22를 나타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 대비 50.66포인트(1.36%) 상승한 3770.55를, 나스닥지수는 132.31포인트(1.28%) 뛴 1만475.25를 다만 한 주로 기간을 넓혀보면 다우지수는 1.4% 하락했고 S&P 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3.4%, 5.7%가량 밀렸다.
ADVERTISEMENT
앞서 지난 1∼2일(현지시간) 열린 FOMC에서 Fed는 정책금리를 3.75~4%로 만장일치로 75bp 인상했다.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결과에 성명서 발표 직후 주식시장이 상승했지만, 이내 반락했다. 회의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의장이 다음 회의나 그 다음번 회의부턴 금리인상 속도를 늦추는 게 가능할 것이라면서 12월 50bp 인상을 시사한 데다 점도표도 상향 조정될 것을 암시했기 때문이다.
이번 주 중 8일(현지시간)엔 미국 중간선거가 열린다. 최대 관심사는 현재 민주당이 쥐고 있는 미 의회 주도권이 공화당으로 넘어갈 것인지 여부다. 공화당이 양원을 모두 장악하는 경우 미국에선 향후 2년간 입법부와 행정부의 대립이 심화될 전망이다. 미국 정부의 정책 추진력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분야와 아닌 분야를 나눠 생각할 필요성이 높아질 것이란 시각이다.
ADVERTISEMENT
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지난주는 Fed의 매파기조 재확인과 미 증시 하락에도 우리 시장의 상대적 선방이 돋보인 한 주였다"며 "미국의 중간선거와 물가지수 발표가 예정된 이번 주의 경우 투자자들은 물가 상승(인플레이션)과 고금리 장기화를 인지하고 있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은 Fed에서 각국의 정책 변화 대응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관측했다. 신 연구원은 "금요일 리오프닝 기대에 따른 홍콩 증시의 급등이 대표적 예"라며 "미국 중간선거 이후 각국의 정책 피벗이 향후 증시에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