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4일 스위스 로잔에 있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본부 올림픽하우스에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4일 스위스 로잔에 있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본부 올림픽하우스에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 서울시장이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만나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의사를 공식화했다. 바흐 위원장은 “서울은 (올림픽 개최에) 준비된 도시”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올림픽 후보지 결정 절차가 아직 공식적으로 시작되지 않았지만 개최지 경쟁에 뛰어든 도하(카타르) 아마다바드(인도)보다 한발 앞선 유치전을 펼쳐 유리한 출발선에 서겠다는 전략이다. 1988년 이후 48년 만에 서울에서 다시 열리는 올림픽을 통해 글로벌 톱5 도시의 위상을 다지고, 서울 브랜드 가치를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88올림픽 레거시 잇겠다”

오세훈 "2036 올림픽" 꺼내자…바흐 "서울은 준비된 도시"
오 시장은 지난 24일 스위스 로잔에 있는 IOC 본부 올림픽하우스에서 바흐 위원장과 면담하고 “2036년 올림픽 유치를 위한 서울의 의지는 뜨겁다”며 “두세 번 올림픽을 개최한 도시를 보면 평균 50년 만에 치른 도시가 많고, 서울도 (이 주기대로) 48년 만에 다시 올림픽을 유치하면 더할 나위 없는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바흐 위원장은 “서울시가 도시계획 분야에서 장기적인 도시 비전을 갖고 있고, 그 비전에서 스포츠의 역할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어 준비된 도시라는 인상을 받았다”고 화답했다.

오 시장은 “때마침 기존 올림픽 시설물을 스포츠·국제회의 공간으로 리빌딩하는 작업(잠실 스포츠·마이스복합단지)이 시작됐다”며 “민간 투자사업으로 2조원 넘게 투자해 앞으로 7~8년 내에 완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32년 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호주 브리즈번이 기존 올림픽 시설을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해 높은 점수를 받은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분석된다.

잠실 스포츠·마이스복합단지 조성 사업은 송파구 잠실운동장 일대 33만여㎡에 코엑스 세 배 크기인 12만㎡ 규모의 전시장과 스포츠콤플렉스(1만1000석), 야구장, 문화·상업시설을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총 2조1673억원의 사업비를 시행사가 부담하고 일정 기간 운영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민간투자 사업(BTO) 방식이다. 한화건설컨소시엄이 사업시행사로 선정됐다.

2025년 최종 후보지 결정

IOC에 공식 유치신청서를 내려면 먼저 대한올림픽위원회 신청·승인, 중앙정부 승인 등 국내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이 절차에만 1년가량의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후 유치신청서를 접수하면 IOC가 복수의 협상 대상 도시를 선정하고 1단계 지속 대화(continuous dialogue), 2단계 집중 협의(targeted dialogue) 등을 거쳐 후보지를 압축한다.

유치 경쟁 과열로 투표권을 쥔 IOC 위원을 대상으로 한 뇌물 스캔들이 끊기지 않자 IOC는 2019년 6월 총회에서 올림픽 유치지 결정 방식을 바꿨다. 차기 올림픽 개최지를 7년 전에 결정하던 조항을 삭제하고, ‘동·하계올림픽 미래유치위원회’를 새로 구성해 1~2개 후보지만 총회 투표에 상정한다.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시 최종 결정은 2025년 말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비용 절감 차원에서 시설 투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선수촌 건립 비용을 주택 재개발 사업 등을 활용한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1988년 서울올림픽 때처럼 선수촌을 건립해 각국 선수단의 숙소로 활용하고 올림픽이 끝난 뒤 민간에 분양하는 방식이다.

역대 최대 경쟁률 될 듯

현재 2036년 올림픽 유치 의사를 밝힌 도시는 인도(아마다바드), 카타르(도하), 인도네시아(자카르타·누산타라), 튀르키예(이스탄불) 등이다. 뮌헨(독일), 헝가리(부다페스트), 중국(청두) 등도 잠재적인 경쟁 도시로 거론된다. 이 중 아마다바드, 도하, 자카르타가 가장 강력한 경쟁 상대가 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서울시 관계자는 “2024년 올림픽 개최지는 프랑스 파리, 2028년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2032년은 호주 브리즈번인데 대륙으로 보면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로 다음 개최지는 아시아, 아프리카 대륙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선 부산시가 2030세계박람회 유치에 총력전을 펴는 상황에서 2036년 서울올림픽 유치 추진이 결과적으로 국가 역량을 분산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로잔=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