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데이터센터 화재로 다수의 카카오 서비스가 먹통이 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제2의 판교 화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국에서 데이터센터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화재 예방책 등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민간 데이터센터도 방송·통신 시설처럼 국가재난관리시설로 지정해 관리하는 방안을 재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KDCC)에 따르면 2000년 53곳이었던 전국의 데이터센터는 2020년 156곳으로 늘었다. 20년 만에 100곳이 넘는 데이터센터가 생긴 셈이다.

이 중 민간에서 운영되는 데이터센터는 88곳, 정부 및 공공 영역에서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는 68곳에 달한다. 데이터센터 수는 2025년이면 180곳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터센터는 구글·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테크 기업들이 앞다퉈 투자를 늘리는 핵심 사업 분야다. 하지만 이번 SK 판교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화재가 언제든지 전국 곳곳의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화재 발생 원인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랙은 전국의 모든 데이터센터에 설치돼 있다. 데이터센터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으로 인해 배터리 랙이 필수 장비처럼 설치돼 있다.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데이터센터를 위한 비상용 배터리 모음으로, 데이터센터, 병원, 관공서 등에 주로 설치된다. 발열이나 누전 등에 취약해 이중, 삼중의 대책이 필요한 장치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대형 데이터센터에 불이 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4년 4월에도 삼성그룹의 백업데이터를 보관하는 삼성SDS 건물에서 연통 과열 등 원인으로 불이 난 바 있다. 이에 삼성카드,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삼성 금융 계열사의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