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에 손든 직구족…리셀 가격도 올라 구매포기 선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씨가 구매하려던 가방은 202달러.
원/달러 환율이 1,200원 수준이었던 올해 초만 해도 관세와 배송비까지 모두 부담해도 30만원 정도면 가능했지만 지난 7일 환율 1,412.4원으로 계산하면 37만∼38만원까지 값이 뛴다.
ADVERTISEMENT
최씨가 구매하려던 가방은 리셀 플랫폼 크림에서 지난 7월 말만 해도 38만원 안팎에 거래가 완료됐지만, 이제는 45만원 넘게 값이 뛰었다.
리셀 사이트 판매자들도 환율 상승에 맞춰 판매가를 올린 것이다.
ADVERTISEMENT
10일 업계에 따르면 이처럼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해외직구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직구족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온라인 카페에도 환율 때문에 더는 직구를 못 하겠다거나 직구 메리트가 사라졌다는 글들이 자주 올라오고 있다.
ADVERTISEMENT
직구족들은 이미 지갑을 닫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온라인쇼핑 해외직접구매액 가운데 미국 구매액은 5천1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늘어나는 데 그쳤다.
ADVERTISEMENT
지난해 2분기 때는 미국 직구액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25.7% 늘어 대폭 증가했던 점과도 대비된다.
반면 엔저 현상에 일본 직구액은 전년 동기보다 31.1% 늘었다.
이 같은 상황에 유통 업계에서는 떠나는 직구족을 잡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롯데온은 10월 한 달간 150개 인기 직구 상품의 재고를 미리 확보하고 할인 행사를 열어 환율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롯데면세점은 해외 직구 온라인몰인 'LDF BUY'에 일본 직구관을 열었고, 아마존 글로벌 스토어를 운영하는 11번가는 직접 제품을 만져볼 수 있는 오프라인 체험관을 내달 7일까지 운영한다.
업계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이 1,400원 넘게 치솟은 3분기에는 직구 규모가 더 줄었을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