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뚱뚱한 사람일수록 암 수술 후 생존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 연구진을 통해 나와 눈길을 끈다.

31일 삼성서울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이종환·박정찬 교수, 순환기내과 이승화 교수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에서 2010년 3월부터 2019년 12월 사이 수술받은 암 환자 8만7567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비만 환자의 암 수술 후 사망위험이 정상 체중 또는 마른 환자보다 낮다고 이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를 통해 소개됐다.

우리는 흔히 비만을 만병의 근원으로 치부한다. 그러나 일부 질환의 경우, 뚱뚱한 상태가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뜻에서 '비만의 역설'이라는 말이 나왔다. 앞서 관상동맥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만성신부전 등으로 수술할 경우 비만인 환자의 예후가 더 양호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또한, 소화기암과 폐암, 신장암 등에서도 부분적으로 효과가 확인됐다.

연구팀은 환자를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18.5 미만인 경우는 저체중(2787명, 3.2%), 18.5 이상 25 미만은 정상 체중(5만 3980명, 61.6%), 25 이상은 비만(3만 800명, 35.2%)으로 나눠 수술 후 사망 위험을 비교했다. 그 결과 수술 후 3년 내 사망 환자는 전체 환자의 6.4%인 5620명으로, BMI만 놓고 봤을 때 비만 환자의 사망위험이 가장 낮았다.

비만 환자 경우에는, 사망위험이 정상 체중의 환자보다 31% 낮게 평가됐고, 저체중 환자와 비교하면 무려 62%나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만 환자 중에서도 더 뚱뚱할수록 사망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BMI가 30이 넘는 환자만 따로 추렸을 때 이들의 경우 정상 체중 환자와 비교할 때 사망위험이 43%나 낮았다.

암의 재발 위험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비만 환자의 경우 재발 위험이 정상 체중 대비 19%, 저체중 환자와 비교하면 16% 감소했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에 대해 체력적 부담이 큰 암 수술의 경우 비만한 환자가 정상체중이나 저체중 환자보다 상대적으로 기력을 회복하는 데 용이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또 비만 환자에서 보이는 우월한 수술 후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능력 역시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비만 환자의 경우 여러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각종 검사와 검진을 자주 받아 암을 상대적으로 빨리 발견할 수 있다는 요인도 있다.

다만 이런 결과만으로 비만이 암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결론 내릴 수는 없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또 유방암이나 부인암과 같은 여성암은 '비만의 역설'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연구를 주관한 이종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종과 병기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분석한 결과여서 향후에 보다 정교한 연구가 이어져야 비만의 영향을 정확히 평가 내릴 수 있다”면서도 “수술을 앞둔 암환자의 체중이 적정 수준 이하라면 상대적으로 예후가 불량하다는 걸 입증한 만큼 이런 경우 환자와 의료진 모두 주의 깊게 살펴보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