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화 원장 "중국에 있는 한국 中企 뭉칠 장 마련했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베이징 중관춘에 한국창업원 여는 고영화 원장
4400㎡에 53개 기업 입주 가능
한·중 행사 유치로 네트워크 지원
공동마케팅 통해 시너지 낼 것
4400㎡에 53개 기업 입주 가능
한·중 행사 유치로 네트워크 지원
공동마케팅 통해 시너지 낼 것
“중국 시장의 파이가 커졌지만 경쟁도 심해졌습니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뭉쳐서 길을 찾아야 합니다.”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베이징 중관춘에 한국창업원을 여는 고영화 원장(사진)은 4일 개원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했다. 베이징 차오양구 중관춘 전자성에 입주한 한국창업원은 4400㎡ 부지에 53개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코로나19로 지연된 시설 공사를 마치고 이달 중순 정식 개원할 예정이다.
고 원장은 2002년부터 중국에서 기업 활동을 해온 ‘중국통’이다. 2016~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 스타트업 중국 진출 지원 기구인 KIC중국 초대 센터장을 지내기도 했다. 그는 “20년 전에 비해 중국 시장은 미국의 70%, 유럽의 80% 정도 될 정도로 커졌고 그만큼 글로벌 기업이 많이 진출하면서 경쟁도 치열해졌다”고 분석했다.
또 “중국이 거의 모든 기술 부문에서 한국 수준에 근접해 시장 공략 난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럼에도 한국 수출의 25%를 차지하는 만큼 여전히 놓쳐선 안 될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득 3만달러 수준에서 필요한 기술들을 활용하면 한국이 공략할 부분도 여전히 있다”고 조언했다.
고 원장은 “중간재 중심의 한국 대기업이 여전히 중국에서 성장하는 것과 달리 중소기업은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한국 중소기업들이 뭉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자는 게 한국창업원의 취지”라고 말했다. 입주 기업들끼리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는다든지, 공동 마케팅으로 비용을 절감하는 식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베이징에는 2200여 개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유학생 1만5000여 명, 교민 5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기업 전용 창업지원센터나 산업단지는 없었다. 중일산업원은 2020년, 중독산업원은 2021년에 한국창업원의 10배 이상 규모로 문을 열었다.
고 원장은 “중국의 중관춘 창업지원제도를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입지적인 강점”이라고 소개했다. 중관춘은 베이징대 칭화대 등 명문대가 몰려 있는 베이징 하이뎬구의 창업단지이자 이 단지에서 유래한 창업지원제도이기도 하다. 베이징 16개 구에 모두 세금과 지원금 혜택을 주는 중관춘창업단지 분원이 들어서 있다. 한국창업원이 들어선 차오양구 중관춘 전자성도 그 분원 중 하나다.
고 원장은 또 한국창업원을 중국 정부와 한국 대사관·공공기관 등 각종 기구 간 교류 장소로도 제공할 계획이다. 임차료도 중심가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책정했다. 6~30명 규모 회의실 6개, 호텔급 시설 로비 등을 갖춰 입주 기업의 고객 접대 등에서 편의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베이징 중관춘에 한국창업원을 여는 고영화 원장(사진)은 4일 개원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했다. 베이징 차오양구 중관춘 전자성에 입주한 한국창업원은 4400㎡ 부지에 53개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코로나19로 지연된 시설 공사를 마치고 이달 중순 정식 개원할 예정이다.
고 원장은 2002년부터 중국에서 기업 활동을 해온 ‘중국통’이다. 2016~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 스타트업 중국 진출 지원 기구인 KIC중국 초대 센터장을 지내기도 했다. 그는 “20년 전에 비해 중국 시장은 미국의 70%, 유럽의 80% 정도 될 정도로 커졌고 그만큼 글로벌 기업이 많이 진출하면서 경쟁도 치열해졌다”고 분석했다.
또 “중국이 거의 모든 기술 부문에서 한국 수준에 근접해 시장 공략 난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럼에도 한국 수출의 25%를 차지하는 만큼 여전히 놓쳐선 안 될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득 3만달러 수준에서 필요한 기술들을 활용하면 한국이 공략할 부분도 여전히 있다”고 조언했다.
고 원장은 “중간재 중심의 한국 대기업이 여전히 중국에서 성장하는 것과 달리 중소기업은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한국 중소기업들이 뭉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자는 게 한국창업원의 취지”라고 말했다. 입주 기업들끼리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는다든지, 공동 마케팅으로 비용을 절감하는 식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베이징에는 2200여 개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유학생 1만5000여 명, 교민 5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기업 전용 창업지원센터나 산업단지는 없었다. 중일산업원은 2020년, 중독산업원은 2021년에 한국창업원의 10배 이상 규모로 문을 열었다.
고 원장은 “중국의 중관춘 창업지원제도를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입지적인 강점”이라고 소개했다. 중관춘은 베이징대 칭화대 등 명문대가 몰려 있는 베이징 하이뎬구의 창업단지이자 이 단지에서 유래한 창업지원제도이기도 하다. 베이징 16개 구에 모두 세금과 지원금 혜택을 주는 중관춘창업단지 분원이 들어서 있다. 한국창업원이 들어선 차오양구 중관춘 전자성도 그 분원 중 하나다.
고 원장은 또 한국창업원을 중국 정부와 한국 대사관·공공기관 등 각종 기구 간 교류 장소로도 제공할 계획이다. 임차료도 중심가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책정했다. 6~30명 규모 회의실 6개, 호텔급 시설 로비 등을 갖춰 입주 기업의 고객 접대 등에서 편의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