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르게 유출되면서 위안화 가치가 8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와 방역 통제로 인한 중국 경기 악화 영향으로 위안화 약세가 더욱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중국의 신규 코로나19 감염자는 이틀 연속 2만 명대를 나타냈다.

위안화 8개월 만에 '최저'…외국인, 中시장서 발 뺀다
24일 시나차이징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 중국 상하이 외환시장에서 위안화 환율은 전날보다 0.79% 급등한 달러당 6.5015위안으로 마감했다. 역내시장에서 위안화 환율이 6.5위안을 넘은 것은 2021년 8월 20일 이후 8개월여 만이다.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오르는 것은 외환시장에서 위안화를 팔고 달러를 사려는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그만큼 위안화 가치가 떨어진다는 의미다. 인민은행은 최근 위안화 약세를 감안해 22일 외환시장 개장 전 기준 환율을 전일 대비 0.78% 오른 달러당 6.4596위안으로 고시했다. 중국 역내시장의 환율은 인민은행 고시환율의 상하 2%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고시환율의 영향을 받지 않는 역외시장인 홍콩 외환시장에선 22일 위안화 환율이 0.73% 오른 달러당 6.5247위안을 기록했다. 이 역시 2021년 4월 15일 이후 1년여 만의 최고치다.

외국인은 최근 중국 금융시장에서 발을 빼고 있다. 지난달 외국인의 중국 채권 순매도 규모는 1125억위안으로 2월 803억위안에 이어 두 달 연속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외국인은 지난달 주식시장에서도 역대 세 번째인 450억위안어치를 순매도했다.

외국인들은 미국과 중국 간 금리 차이가 줄어들자 중국 채권을 내다팔고 있다. 개발도상국인 중국의 금리는 선진국인 미국에 비해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글로벌 투자자들은 이런 금리 차이를 보고 중국 채권에 투자해왔다. 현재 기준금리는 미국이 연 0.25~0.5%, 중국이 연 3.7%로 여전히 차이가 크다. 하지만 앞으로 이런 흐름이 바뀔 전망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고강도 긴축 정책을 예고한 반면 중국은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올해 여섯 차례 더 금리를 올릴 예정이다. 반면 중국은 경기침체에 대응해 기준금리를 인하하거나, 최소한 동결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상하이 등 주요 경제권을 수시로 봉쇄하면서 중국 경기는 침체로 빠져들고 있다. 봉쇄가 지속된 상하이의 3월 산업생산이 전년 동월 대비 7.5%, 소매판매가 18.9% 감소하는 등 지표 악화가 시작됐다.

23일에는 수도 베이징에서 22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해 중국 방역당국이 더욱 고삐를 죌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베이징 신파디 시장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퍼지던 2020년 6월 13일 36명 이후 최대치다.

중국의 수출 증가세마저 둔화하고 있어 외국인 자금이 더 빠르게 유출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JP모간은 6월 말 환율 전망치를 기존 6.35위안에서 6.5위안으로 조정했다. 중국 외환관리국은 “중국 경제가 중장기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외환보유액도 충분한 상황이어서 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각에선 위안화 약세가 수출에는 도움이 되기 때문에 중국 당국이 완만한 약세(환율 상승)를 유도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