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디지털 대전환 시기 청년을 위한 국가 주도 투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정권교체와 공정, 자유의 회복.’(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2일 한국경제신문이 이 후보와 윤 후보가 본격적으로 맞붙은 작년 11월부터 지난달까지 약 석 달간 공식 발언에서 나온 키워드를 전수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이렇게 정리할 수 있다.

이 후보는 작년 10월 10일, 윤 후보는 11월 5일 각 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11월 5일부터 양당 홈페이지에 올라온 두 후보의 공약 발표문과 행사 인사말, 기자회견문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 기간 이 후보와 윤 후보가 사용한 단어는 각각 6만9371개, 2만8966개에 달했다.

두 후보가 언급한 키워드 중 가장 빈도가 높은 ‘톱10’에는 국가, 산업, 정부, 경제, 성장, 지역, 시장 등이 공통으로 들어갔다. 톱10 중 어느 한쪽 후보만 유난히 빈도가 높았던 키워드를 따로 추려보면, 이 후보는 청년(6위) 디지털(8위) 투자(9위) 등의 빈도 순위가 윤 후보보다 높게 나타났다. 윤 후보는 미래(5위) 공정(8위) 자유(9위) 등의 언급 빈도가 이 후보 대비 두드러졌다.

경제정책 관련 키워드에서도 두 후보는 분명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 후보는 디지털(1위)에 이어 주택(2위) 에너지(5위) 등에 강조점을 뒀다. 다가올 디지털·에너지 대전환에 대비한 선제 투자를 강조하고 주택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한 것이다.

윤 후보는 일자리(1위)와 원전(3위), 4차 산업혁명(4위) 등의 키워드를 자주 발언했다.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선 4차 산업혁명 대비와 더불어 ‘탈(脫)원전 정책 백지화’가 필요하다는 윤 후보의 소신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올들어 네거티브 줄고 '가상자산·GTX' 발언 급증
이재명, '주택'으로 2030 달래기…윤석열, '4차 산업혁명' 언급 늘어

이재명 "청년·디지털·투자"…윤석열 "미래·일자리·원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작년 11월 5일 후보로 선출된 직후부터 줄곧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을 비판해왔다. 지난달 25일에는 SNS에 “탈원전 백지화, 원전 최강국 건설”이라는 ‘한줄 공약’을 올리기도 했다.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윤 후보와 달리 공식 발표문에서 원전이라는 키워드를 한 차례도 쓰지 않았다. 다만 이 후보는 취재진과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은 예정대로 사용하되 신규 원전은 짓지 않는 ‘감(減)원전’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두 후보는 대선이 다가올수록 경제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책 키워드 언급 빈도를 높이고 있다. 이 후보는 작년 11~12월 두 달간 76회 발언했던 ‘청년’ 키워드를 지난달에는 216회나 썼다. 같은 기간 ‘주택’ 언급 횟수도 23회에서 118회로 급증했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윤 후보 대비 열세를 보이고 있는 2030세대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주택 정책에 집중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후보는 지난달 23일 부동산 공급대책을 내놓으면서 “청년을 포함한 무주택자들이 평생 한 번은 당첨될 기회가 있도록 주택 공급 기반을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윤 후보는 지난해 11~12월만 해도 ‘문재인’ ‘이재명’ ‘대장동’ 등 소위 ‘네거티브성 키워드’ 출현 빈도가 두드러졌다. 하지만 올 들어 디지털, 4차 산업혁명, 주택 등 키워드의 언급 빈도를 높여가며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문재인’은 15회에서 2회로 급감했고 직전 두 달간 각각 13회, 21회 언급했던 ‘이재명’ ‘대장동’은 지난달 한 번도 거론하지 않았다. 1월에는 두 후보 모두 가상자산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공약을 연달아 내놓으면서 관련 키워드 언급 횟수가 급증했다.

국가관 및 가치관과 관련된 키워드만 따로 뽑아 순위를 매겨본 결과 이 후보는 윤 후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경(5위)과 여성(6위)의 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과 이 후보가 기후위기 대응과 여성 문제 해결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이 후보는 공공(4위)과 평등(8위) 키워드 언급 빈도도 윤 후보보다 많았다. 이 후보가 국가·정부 등 공공 주도의 문제 해결과 ‘결과의 평등’을 그만큼 중시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윤 후보는 공정(2위)과 자유(3위) 등의 언급 순위가 이 후보 대비 높았다. 윤 후보가 ‘조국 사태’를 거치며 ‘공정의 아이콘’으로 떠올랐고, 평소 자유주의를 강조해온 것과 일치하는 결과다.

윤 후보가 정권교체(6위)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상식(8위)을 자주 언급한 점도 눈에 띈다. 그는 지난달 21일 “지난 5년간 대한민국에서는 공정과 상식이 무너지고 불공정과 부패가 판을 쳤다”고 했다. 윤 후보의 민주주의(민주화 포함) 언급 횟수는 68회로 민주당 소속인 이 후보(32회)의 두 배를 넘었다.

외교·안보 부문에서는 두 후보 모두 안보와 평화, 미국, 북한 등을 비슷한 빈도로 발언했다. 다만 이 후보는 석 달간 중국을 모두 17회 언급한 데 비해 윤 후보는 단 1회에 그쳤다.

오형주/성상훈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