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짜리 7t 프레스설비
고철값 400만원만 받고 팔아"
초과 근무 불가능해 일감 줄어
韓기업 장점인 '빠른 납기' 못해
자식에게 기업 안물려주고 '폐업'
고생한단 인식에 2세 "승계 거부"
중소 제조업이 누적된 원자재 가격 상승, 획일적인 노동 관련 규제 여파로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 자동차, 반도체, 석유화학, 조선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의 생산과 수출은 계속 증가하는 반면 중소 제조업체들은 부진을 면치 못하면서 생계수단인 기계설비를 내다 파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현장에서 만난 중소기업인들은 이구동성으로 “더 이상 제조업으로 돈을 벌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하소연했다.
“은행 빚더미...제조업 기대 접고 주식 부동산 투자에 관심”
휴·폐업이 급증하면서 중고 기계설비가 쏟아지고 있지만 매수세는 찾기 힘든 상황이다. 한 기계 유통업체 대표는 “최소 수천만원은 받아야 할 7t짜리 프레스 설비도 고철값인 400만원에 거래된다”며 “고철값이 1년 새 ㎏당 180원에서 550원으로 세 배로 오른 것이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중국 칭다오에서 공기압축기 제조 사업을 하던 D사는 2017년 수도권에 공장을 세우면서 국내로 유턴한 기업이다. 하지만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으로 매출이 감소하고 인력난이 심해지며 은행 빚만 늘다가 결국 지난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갔다. 현재 공장 부지도 경매로 넘어간 상태다.
주로 저임금 노동인력 비중이 큰 중소 제조업은 최근 5년간 최저임금이 42% 급등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1월 300인 미만, 7월 50인 미만 기업에 본격 시행된 주 52시간제도 매출 급감과 인력난을 부추기고 있다. 한 제조업체 대표는 “초과근무가 불가능해지면서 일감을 많이 따올 수 없고, 한국 기업의 강점인 ‘빠른 납기’도 불가능해져 경쟁력을 잃고 있다”고 토로했다. 인천의 한 섬유업체 사장은 “주 52시간제로 매출이 반토막났다”며 “미국 유럽 중동에서 받았던 일감을 주 52시간제가 없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 빼앗기고 있다”고 호소했다.
지난해부터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용이 급등하면서 이제는 수익도 내기 어려운 신세가 됐다. 중소 제조업체의 42.1%는 대기업 납품에 의존하는 수탁기업이다. 대부분 원자재를 조달해 임가공을 거쳐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제품 가격에 반영되지 않아 적자 경영의 수렁에 빠졌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소제조업 생산지수(2015년=100)는 2022년 97.8로 예상돼 코로나19사태 이전 수준(2019년, 98.2)을 회복하지 못할 전망이다. 서비스업 생산지수와 대기업 제조업 생산지수 전망이 모두 2019년 수준을 훨씬 웃도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중기연이 지난달 중소기업 580곳을 조사 결과 78.6%가 “현재 우리나라 경제가 위기”라고 응답했다. 위기가 아니라는 답변은 21.4%에 불과했다. 또 중소기업의 64.0%는 “당분간 경기 회복이 어렵다”고도 했다. 올해(2022년) 회복할 것이란 전망은 4.8%에 불과했다.
2세 외면에 제조업 명맥도 끊길 판
제조업의 열악한 환경에 지속 경영을 포기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주로 1950~1960년대생인 중소 제조업체 창업 1세대가 은퇴할 시점이지만 2세가 승계를 거부하면서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60세 이상 중소제조업체 대표자 비중은 2010년(13.0%)에 비해 2019년 26.2%로 2배 이상 증가했다. 폐업자 가운데 60~70대 연령층 비중도 계속 증가해 2020년의 경우 폐업자 89만명 가운데 60대 이상은 20만명(22.2%)에 육박했다.경남 창원에서 대형 조선기자재업체를 운영하는 70대 H회장도 2세에게 기업승계를 포기하고 자산운용사를 차려 넘겨주기로 했다. H회장은 “인건비가 계속 오르고 정부 규제만 늘어 더 이상 한국에서 제조업을 하기엔 무리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인천의 한 생활용품 제조업체 대표는 “제조업을 하면 고생만 한다는 인식 때문에 2세가 제조업을 물려받는 사례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고 전했다.
"제조업은 경제 안보의 핵심...규제 철폐해야"
전문가들은 정부가 소상공인만 챙길 것이 아니라 경제의 근간인 중소 제조업도 챙겨야한다고 지적했다. 제조업은 국내 총생산의 29.3%, 수출의 84.3% 차지하고 400만개 일자리가 집중된 한국 경제의 근간이다. 국내 제조기업은 57만9000개로 이 가운데 99%인 57만7000개가 중소기업이다.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 한 중소기업 회장은 “주52시간 근무제 시행과 최저임금 급등 등 중소기업계를 옥죄는 정책들이 남발할때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어느 부처도 앞장서서 기업편을 들어주지 않았다”며 “혈세가 투입되는 자금 지원만 할 것이 아니라 규제 자체를 막는 데 앞장서달라”고 지적했다.주영섭 전 중소기업청장(서울대 특임교수)은 “코로나19로 붕괴된 경제를 회복하는 데 제조업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최근 자동차 반도체 대란, 철근 대란 등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서 나타났듯 제조업은 경제 안보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