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해 조직적 댓글 조작에 개입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국민의힘이 7일 밝혔다. 심지어 정치 활동 참여가 제한된 공무원을 댓글 조작에 참여시키려한 정황도 드러났다고 국민의힘은 지적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일부 지지자들이 자발적으로 한 것일뿐 "이재명 선대위와는 무관하다"고 부인했다. '댓글조작' 여부를 두고 두 당이 진실공방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국민의힘측은 민주당 중앙선대위의 온라인소통단 관계자들이 오픈채팅방을 운영하며 댓글 조작에 개입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모 카카오톡 참여자가 국민의힘측에 제보한 내용에 따르면, 한 채팅방에선 이재명 선대위 온라인 소통단의 팀장이라고 밝힌 A씨의 공지사항 글이 공유되고 있었다. 언론기사대응 방식, 유튜브 영상 대응 방식 등의 내용이다.
선대위 온라인소통단 팀장 A씨의 공지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 공유되고 있다. 여기에는 언론대응, 유튜브 대응 방안등이 담겼다.
선대위 온라인소통단 팀장 A씨의 공지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 공유되고 있다. 여기에는 언론대응, 유튜브 대응 방안등이 담겼다.
방 소속 누군가가 이재명 후보 관련 기사를 공유하면 '선플'을 달거나 기사에 '추천해요 ' 또는 '화나요'를 누르라고 지시했고, 또 '찬반순' 배열을 한 후 '공감' 또는 '반대'를 누르라고도 했다.

이재명 후보에 대해 비판적인 유튜브 영상에 대해서도 '싫어요'를 누르라고 공지돼 있다.
실제 이 방에서는 네이버, 카카오에 올라온 기사나 유튜브의 링크가 공유됐다.
실제 언론 기사의 링크가 공유되고 있다.
실제 언론 기사의 링크가 공유되고 있다.
또 '기사가 뜨자마자 짧고 임펙트 강한 댓글을 올린다' '이미 댓글이 많을 경우 댓글은 패스하고 선플 공감과 악플 비추를 누른다' '이미 올라온 댓글이 많을 땐 댓글 달 시간에 공감과 비추를 누르는게 훨씬 효과적이다' '한가지 기사에 많은 공감보다 상위 선플과 악플에 집중해 여러 사이트에 흔적을 남긴다' 등의 노하우까지도 공유되고 있었다.
언론기사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노하우가 공유되고 있다.
언론기사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노하우가 공유되고 있다.
이 채팅방 참여자들은 '국민의힘 인터넷 댓글 조작 프로그램인 크라켄을 조심하자'고 말하기도 했다.

채팅방에선 심지어 정치 활동 참여가 엄격히 제한된 공무원들을 참여시키려는 정황도 드러났다고 국민의힘은 지적했다. 자신을 선대위 워원회 본부장이라고 밝힌 B씨는 이 채팅방의 공지를 통해 "공무원&종교인 등 부득이한 사정으로 실명 사용이 어려우신 분은 연락을 주시면 배려를 해드리겠다"고 적었다.
방에 올라왔던 공지. 공무원 등을 배려해주겠다는 글이 포함돼 있다.
방에 올라왔던 공지. 공무원 등을 배려해주겠다는 글이 포함돼 있다.
앞서 국민의힘은 댓글 조작 정황의 움직임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영 국민의힘 선대위 디지털본부장은 지난 30일 인터넷 댓글 조작을 막기 위해 자체 개발한 '크라켄 프로그램'을 통해 윤석열 당 대선 후보를 겨냥한 비방 댓글이 조직적으로 달리는 듯한 움직임을 잡아냈다고 말했다.

당시 이 본부장은 "여러 개 계정으로 유사한 댓글을 작성하는 방법으로 윤 후보를 악의적·조직적으로 비방한 징후가 포착됐다"고 말했다.

장순칠 국민의힘 선대위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민주당 선대위의 여론조작 정황이 도를 넘어 불법 선거운동마저 조장하고 있는 단서가 포착됐다"며 "불법선거운동 정황 즉각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선대위 차원의 공식적인 개입이 전혀 아니라고 밝혔다.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대전환(중앙)선대위 위원회 본부장이 방장으로 되어있는 카카오톡 단체방은 이재명 대전환선대위의 온라인소통단과 무관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아울러 온라인소통단을 비롯한 이재명 대전환선대위는 모든 활동을 사전에 선거법 자문을 받아서 활동하고 있고, 활동하는 상근, 비상근자원봉사자들에게도 온라인 선거운동 선거법 관련한 교육을 주기적으로 하고 있다"고 했다.

민주당측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운영이 지지자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이뤄지고 있고, 불법도 아니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선플 달기 운동이 왜 댓글 조작인지 모르겠다"며 "무슨 매크로 프로그램을 동원해 불법적인 행동을 한 것도 아니고, 조직적으로 상대방을 비난하는 악플을 단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