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에 20번, 꽤 쏠쏠해"…40대 주부도 빠진 '용돈벌이' 비결 [안혜원의 집에서 돈벌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집에서 돈벌기 12]
당근마켓 ‘타 지역 거래’ 수요 늘자…
채팅·인증 대신해 주고 웃돈 받는 업자들 기승
덩달아 개인정보 도용 범죄나 제 3자 사기도 '급증'
당근마켓 ‘타 지역 거래’ 수요 늘자…
채팅·인증 대신해 주고 웃돈 받는 업자들 기승
덩달아 개인정보 도용 범죄나 제 3자 사기도 '급증'

루이비통 가방을 구매하려고 중고거래 어플리케이션(앱) 당근마켓을 뒤지던 은행원 이지민씨(29). 마음에 드는 가방이 저렴하게 매물로 나온 것을 발견했지만 구매할 수가 없었습니다. 이 씨가 사는 곳은 경기 의정부지만 판매지는 서울 청담동이었기 때문입니다.
ADVERTISEMENT
금세 댓글이 달렸습니다. 청담동에 거주한다며 이 씨 대신 채팅을 해주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알고 보니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선 당근마켓 '대리 채팅'이나 '대리 인증'을 해주고 일정 비용을 받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대리 채팅 비용은 지역에 따라 1000~5000원으로 다양했습니다.
이 씨는 대리 채팅업자에게 5000원을 주고 찍었던 중고 루이비통 가방을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다른 지역에 있어 구입하지 못하던 가방을 저렴하게 구매해 만족했지만 채팅을 대신 해주는 것도, 웃돈을 주고 거래하는 사실에 적잖이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ADVERTISEMENT
이웃 간 거래를 중개한다는 원칙 때문인데요. 그러나 이같은 특성 때문에 이용자와 멀리 떨어진 지역에 등록된 물품은 거래할 수 없어 불편하다는 반응도 나옵니다. 당근마켓 타 지역 거래 수요를 이용해 돈을 버는 사람들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대신 인증해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타 지역 거래자가 채팅방에 접속해 "OO지역 인증이 필요하다"고 하면 누군가가 도와주겠다고 자원하고, 거래자는 그에게 당근마켓 아이디와 비밀번호, 휴대전화로 전송되는 인증번호를 알려줍니다. 가령 서울 마포구에 사는 구매자가 나이키 신발을 구하려는데 자신의 거주지 인근 동네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강남구에 사는 타인에게 계정 정보를 주고 대신 로그인을 부탁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ADVERTISEMENT
명품 수요 급증에 중고시장에서도 명품 거래가 크게 늘어난 만큼 대리 채팅 수요가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는 단연 서울 강남 지역입니다. 강남은 소득수준이 높고 압구정·청담·가로수길 곳곳에 샤넬·루이비통·에르메스·프라다·버버리 등 명품 브랜드 매장이 즐비한 국내 최고의 소비지역입니다. 그만큼 명품 중고 매물도 많습니다.
때문에 강남에 거주하진 않지만 틈틈이 이 지역을 들러 '지역 인증'을 한 다음 거래를 하는 업자들도 있습니다. 당근마켓 앱의 허점을 이용한 겁니다. 이 앱은 특정 지역에서 한 차례만 인증하면 한 달간은 거래가 가능합니다. 때문에 한 달에 한 번씩 강남 지역으로 '원정'을 가 지역 인증한 다음 대리 채팅 거래를 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ADVERTISEMENT

전형적 사기 수법인 '제3자 사기'도 확산하고 있습니다. 제3자 사기는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제3자가 물품을 가로채는 수법입니다. 사기꾼이 대리 채팅을 해주겠다고 구매자에게 접근한 뒤 판매자에게 물건을 살 것처럼 연락해 물품 사진과 계좌 번호를 받고, 구매를 원하는 또 다른 이에게 자신이 판매자인 척하며 받은 계좌 번호를 건네 돈을 입금하게 합니다. 이처럼 돈은 제3자가 지불하게 하고 물품은 자신이 중간에서 가로채는 겁니다.
실제로 당근마켓을 이용한 사기 범죄는 지난 2년새 80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온라인 거래 피해공유 사이트 '더치트'에 따르면 당근마켓의 피해 등록 건수는 2018년 68건에서 2019년 700건, 2020년 5389건으로 급증했습니다.
대리 채팅이나 대리 인증 등으로 인한 거래 사기가 늘자 당근마켓도 이용자 보호 조치에 나섰습니다. 당근마켓 관계자는 "카카오톡 오픈채팅 등 제3의 채널에서 사기 시도가 빈번하다는 점에 주목해 이를 경고하는 안내를 하고 있다"며 "최근 대화한 거래 상대방이 사기 행위로 제재됐을 경우 별도 주의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며 사기 가해자에겐 영구 제재 조치도 내린다"고 설명했습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